일양약품, ‘프리온(광우병)치료제’ 복지부 연구과제 선정

  • 등록 2018.01.17 16:17:27
크게보기

총 연구개발비 48억원 투자, 'First-in-Class 신약' 기대

일양약품(대표 김동연)의 ‘프리온(Prion/광우병)질환 치료제 개발’이 최근 보건복지부가 진행하는 “종간전파 인체감염병 극복 기술개발’ 연구과제에 선정되었다.

   

일양약품이 ‘프리온(Prion/광우병) 질환’ 연구분야에서 한림대학교 일송생명과학 연구소와 함께 연구를 진행해,  프리온 질환의 세포모델 및 뇌조직배양 모델에서 성과를 이뤘다고 밝혔다.

 

최근 실험동물을 이용한 연구에서 유효한 후보물질을 찾아 물질특허 출원과 선별된 후보물질의 유효성 평가를  진행중이며, 프리온(광우병) 질환 신약 개발을 위한 자료 보강 및 국내•외 학회를 통한 연구성과를 발표했다.

 

이에, 일양약품은 정부에게 우수한 연구평가를 인정받아 총 48억원의 연구비를 지원받는다. 일양약품은 관계자는 "한림대학교 일송생명과학 연구소와 공동으로 축적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광우병을 포함한 동물 및 인간 프리온(Prion) 질환 치료제’ 개발을 더욱 가속화 하겠다" 고 밝혔다.

 

소에서 발생되는 광우병 및 인간에서 발생되는 크루츠펠트 야콥병(Creutzfeldt Jakob Disease, CJD)으로 알려진 ‘프리온(Prion) 질환’은 ‘정상 프리온 단백질(prion protein)’이 ‘비정상 프리온 단백질’로 변형된 후 뇌세포에 축적되어 중추신경계를 파괴시켜 발생되는 퇴행성 뇌 질환이다. 특히 전염력을 갖고 있어 ‘프리온 질환’에 오염된 육류 섭취로도 인간감염이 우려되는 치명적인 인수공통전염병이다.

 

현재, 프리온(Prion/광우병) 질환은 치료제 및 예방 백신이 없는 상태이며, 전세계적으로 3~4개 선진국에서만 연구를 진행하고 있어 획기적인 치료제 개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보건복지부의 기술개발 과제선정’은 국내•외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새로운 감염병 대유행의 국가적 대응•대비 체계 구축 강화를 위한 방안으로 신약개발 및 R&D기술력을 인정받은 기업을 선별해 지정했다.

김보미 기자 hanh2210@hanmail.net
Copyright @2008 클리닉저널.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클리닉저널 (ClinicJournal) | [121-737]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5 (마포동 35-1) 현대빌딩 705호
Tel 02)364-3001 | Fax 02)365-7002 | 등록번호 : 서울 아 05030 | 등록일 : 2018.03.22 | 발행일 : 2018.03.22 | 발행·편집인 : 한희열 Copyright ⓒ 2008 클리닉저널. All rights reserved. mail to clinic321@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