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산화탄소 중독후 지연성 뇌 손상 예방 치료법 개발

  • 등록 2018.04.24 12:18:56
크게보기

서울아산병원 신경과․응급의학과 교수팀


  일산화탄소 중독 후 지연성 뇌 손상 예방할 수 있는 치료법을 개발해내므로서 일산화탄소 중독 조기 치료를 통해 후유증을 최소화시키고 사망률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서울아산병원 전상범(신경과), 김원영 손창환(응급의학과) 교수팀은 일산화탄소를 흡입한 급성기 환자들의 뇌 MRI(자기공명영상) 검사 결과 패턴을 분석해 지연성 뇌 손상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최근 찾아낸 것.

     지연성 뇌 손상은 일산화탄소 중독에서 회복된 환자에서 20~40% 정도 발생되며 회복된 후 몇 주 이내에 의식장애, 인지장애, 파킨슨증, 보행장애, 대소변조절장애 등의 신경학적 증상을 나타낸다. 응급처치 후 회복되더라도 몇 주 뒤에 후유장애가 계속 남거나 심지어 사망할 수 도 있다.

     연구팀은 20114월부터 201512월까지 급성기 일산화탄소 중독 치료 후 신경학적 이상 증상이 없는 채로 퇴원한 환자 387명의 뇌 MRI를 분석했다.

     신경학적 증상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MRI에서 급성 이상 패턴이 관찰된 환자는 104(27%) 이었다. 이 중 퇴원 시 없었던 지연성 뇌 손상 증상이 퇴원 후 새롭게 발생한 환자가 76(73.1%)으로 확인됐다.

반면, MRI에서 급성 이상 패턴이 없었던 환자 283명에서 퇴원 후 지연성 뇌 손상 증상이 새롭게 발생한 환자는 25(8.8%)뿐이었다.

     급성 일산화탄소 중독 환자가 응급처치 후 특별한 신경학적 증상이 없더라도 MRI에서 급성 이상 패턴이 보인다면 추후 지연성 뇌 손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73%라는 점을 예상하고 적극적으로 조기 치료를 적용해야 한다는 해석이다

     연구진은 지연성 뇌 손상이 발생한 환자의 뇌 MRI 결과를 창백핵 병변, 미만성 병변, 국소 병변 등 세 가지 패턴으로 분류했다. 이 중 국소 병변을 다시 초점형 병변, 패취형 병변, 영역형 병변으로 세분화했다.

     연구팀은 급성기에 촬영한 뇌 MRI에서 몇 주 후에 발생할 지연성 뇌 손상을 예측할 수 있는 단서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연구를 시작했다. 급성기 일산화탄소 중독 환자들을 대상으로 체계적으로 시행한 MRI 연구는 아직까지 없었다.

급성기 뇌 MRI 이상 소견으로 지연성 뇌 손상을 민감도 75%와 특이도 90%로 우수하게 예측할 수 있었다.

급성 일산화탄소 중독을 치료하고 지연성 뇌 손상을 예방하는 가장 효과적인 치료 방법은 챔버라는 특수한 의료장비를 이용해 혈중 산소 농도를 높여 일산화탄소를 해독시키는 고압산소치료다. 이러한 특수 치료가 가능한 병원은 서울, 경기, 인천 지역에서 2~3곳 밖에 없기 때문에 일산화탄소 중독 환자들이 제대로 응급 처치를 받는 것이 어려운 현실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적으로 저명한 학술지 자마 뉴롤로지(JAMA Neurology)최신호에 게재됐다.

 

김보미 기자 clinic321@daum.net
Copyright @2008 클리닉저널.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클리닉저널 (ClinicJournal) | [121-737]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5 (마포동 35-1) 현대빌딩 705호
Tel 02)364-3001 | Fax 02)365-7002 | 등록번호 : 서울 아 05030 | 등록일 : 2018.03.22 | 발행일 : 2018.03.22 | 발행·편집인 : 한희열 Copyright ⓒ 2008 클리닉저널. All rights reserved. mail to clinic321@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