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발골수종 환자 골절 시 사망 위험 최대 2.5배 증가

  • 등록 2025.10.27 10:43:07
크게보기

다발골수종 환자 최대 80% 진단 당시 골용해 병변 동반해 골절로 이어져 삶의 질 저하
진단 1년 내 골절 발생 시 사망률 유의미하게 증가해 진단 초기부터 예방·관리 강화 필요”
서울성모병원 가톨릭의대 공동 연구팀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혈액내과 박성수 교수,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한승훈 교수 공동 연구팀(공동 제1저자 서울성모병원 내분비내과 하정훈 교수, 가톨릭대 의대 약리학교실 최수인 교수)이 다발골수종(MM, Multiple Myeloma) 환자에서 골절 발생과 사망 위험이 유의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국내 대규모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확인했다.

 

다발골수종은 골수에서 형질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는 혈액암이다.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국내에서는 2022년 연간 1,961건이 발생하였으며, 전 세계적으로 두 번째로 흔한 혈액암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다발골수종 환자의 최대 80%는 진단 당시 골용해 병변을 동반하며, 이는 병적 골절로 이어져 환자의 삶의 ▲(왼쪽부터)가톨릭대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최수인 교수,         질을 저하시키고 사회경제적 부담을 증가시키고 있다.

서울성모병원 내분비내과 하정훈 교수, 서울성모병원 혈액내과 박성수 교수,

가톨릭대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한승훈 교수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2009년부터 2020년까지 다발골수종으로 진단받은 환자 9,365명과 성별·연령을 1대1로 매칭한 일반인 대조군 9,365명을 비교 분석했다. 분석 결과 다발골수종 환자군의 6년 누적 골절 발생률은 10.2%로 일반인 대조군의 8.3%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골절 부위별로 살펴보면, 척추 골절 발생 위험은 일반인 대비 1.36배, 고관절 골절 발생 위험은 1.47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특히 다발골수종 진단 후 1년 이내 골절이 발생한 경우 사망률이 뚜렷하게 증가한다는 점에 주목했다. 진단 1년 내 골절을 경험한 환자군은 비골절 환자군과 비교했을 때 전체 골절의 경우 사망 위험이 1.37배 증가했으며, 골절 부위별로는 척추 골절 1.39배, 고관절 골절 2.46배, 상지 골절 1.94배로 모든 골절 유형에서 사망 위험이 유의미하게 상승했다. 특히 고관절 골절의 경우 사망 위험이 2배 이상 증가해 가장 예후가 나쁜 것으로 확인됐다.

 

다발골수종 환자에서 골절 위험이 높은 이유는 골수종 세포의 침윤으로 인한 골항상성 파괴 때문이다. 골수종 세포는 파골세포 활성을 증가시키고 조골세포 기능을 저하시켜 골용해 병변을 유발한다. 또한 골세포가 방출하는 RANKL(수용체 활성화 핵인자 카파-B 리간드), 스클레로스틴, Dickkopf-1 등의 분자 조절이 교란되면서 골수 미세환경이 변화하고 골절 위험이 증가하게 된다. 고관절 골절의 경우 기능 저하와 장기간 침상안정을 요구하며, 이 기간 동안 욕창, 감염, 폐렴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사망률 증가로 이어지는 것으로 분석된다.

 

진단 1년 이내 골절 발생 시 사망률이 유의미하게 증가한다는 이번 연구 결과는 다발골수종 진단 초기부터 골절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적극적인 약물 치료와 환자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항골흡수제의 장기 사용에 따른 부작용 우려가 있지만, 다발골수종 환자에서는 치료의 이득이 부작용을 훨씬 상회하므로 골절 예방을 위한 노력이 필수적이라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다.

 

이번 연구는 국내 최초로 시도된 전국 단위 보험데이터를 이용한 다발골수종 골절과 사망 연관성 분석으로, 다발골수종 환자의 골절 발생률을 부위별로 분석하고 골절과 사망률의 연관성을 규명했다는 의의가 있다. 다발골수종 환자에서 골절은 단순한 합병증이 아니라 생존과 직결되는 중요한 예후 인자가 될 수 있음을 밝혀냈으며, 이는 임상 현장에서 골절 예방을 위한 적극적 관리 전략 수립의 근거를 제시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번 연구의 1저자인 하정훈 교수는 “다발골수종 환자에서 골절은 단순한 합병증이 아니라 생존과 직결되는 중요한 요인이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한 적극적인 치료와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연구를 주도한 박성수 교수는 “이번 연구는 국내 빅데이터를 활용해 환자 치료 전략에 실질적인 근거를 제시했으며, 다발골수종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골절 예방 관리가 반드시 병행돼야 함을 보여준다.”며 “골절 위험 최소화를 위한 적극적 치료와 관리 전략 수립 근거로 사용해 나갈 것”이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Nature Portfolio 소속 국제학술지인 Scientific Reports 2025년 7월호에 게재됐다.

클리닉저널 clinic321@daum.net
Copyright @2008 클리닉저널.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클리닉저널 (ClinicJournal) | [121-737]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5 (마포동 35-1) 현대빌딩 705호
Tel 02)364-3001 | Fax 02)365-7002 | 등록번호 : 서울 아 05030 | 등록일 : 2018.03.22 | 발행일 : 2018.03.22 | 발행·편집인 : 한희열 Copyright ⓒ 2008 클리닉저널. All rights reserved. mail to clinic321@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