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응급의학과 이수교 교수가 지난 10월 30~31일, 서울 스위스 그랜드 호텔에서 열린 2025 대한응급의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대한심폐소생협회 젊은연구자상을 수상했다.
이 교수는 '병원 내 심폐소생술 중 제세동 필요 리듬 예측을 위한 인공지능 모델 개발'(Artificial intelligence for predicting shockable rhythm dur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hospital setting) 연구로 심폐소생술 중 흉부 압박을 중단하지 않고도 제세동 가능 리듬을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개발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심폐소생술을 지속하면서 빠른 시간 내에 제세동을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 이 수교 교수
하지만 제세동이 필요한 심장 리듬 등을 파악하기 위해 심전도 분석이 선행돼야 해 흉부 압박 중단이 불가피하다. 보통 병원 내에서는 10초, 병원 밖에서는 최대 수십 초간 흉부 압박이 멈추게 된다.
이에 이 교수는 흉부 압박을 멈추지 않고도 심장 리듬을 분석할 수 있는 인공지능 모델을 개발했다. 실제 응급실에서 시행된 심폐소생술 데이터를 기반으로, 흉부 압박 중 발생하는 심전도(ECG) 신호를 인공지능에 학습시켜 제세동이 필요한 리듬(Shockable rhythm) 여부를 자동으로 판별하도록 했다. 그 결과 인공지능 모델이 높은 예측 정확도(AUROC 0.8672, 값이 1에 가까울수록 예측 성능 우수)로 제세동 필요 리듬을 구분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교수는 "이번 연구는 인공지능을 활용해 심폐소생술 중 흉부 압박이 진행되는 상태에서도 심전도를 실시간으로 분석함으로써, 제세동 필요 여부를 정확히 판별할 수 있도록 한 연구"라며 "이 기술이 더욱 고도화된다면 심폐소생술 과정의 효율성을 높이고,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 향상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한편, 이 교수의 연구는 현재 국내 특허로 가출원 된 상태로 향후 상용화를 위한 기술 이전 및 임상 적용 확대가 기대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