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8 (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폐암 환자의 치료 내성 유형별 맞춤 치료 전략 제시

단일세포 전사체 분석 통해 치료와 무관하게 잔존하는 세포군을 재발 위험 인자로 확인
폐암 환자 세포 '활용한 약물 유전체 플랫폼으로 차세대 폐암 맞춤 치료 전략 제안
국립암센터 한지연 박사(치료내성연구과), 김선신 박사·박찬이 박사(표적치료연구과) 연구팀

국립암센터(원장 양한광)는 한지연 박사(치료내성연구과), 김선신 박사·박찬이 박사(표적치료연구과) 연구팀이 난치성 폐암 환자 유래 암세포를 활용해 유전체 변화와 약물 반응성을 추적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치료 내성을 극복할 수 있는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을 제시했다고 8일 밝혔다.

 

폐암은 우리나라에서 암 사망 원인 1위를 차지하는 주요 질환이다(2024년 기준). 특히 동아시아를 포함한 우리나라에서는 상피세포성장인자 수용체*(EGFR,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돌연변이 빈도가 높아, 이를 표적으로 한 타이로신 키나아제 억제제(TKI, Tyrosine Kinase Inhibitor)* 치료가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왼쪽부터) 한지연 박사, 김선신 박사, 박찬이 박사

 

초기 치료 반응률은 높지만, 대부분의 환자에서 치료 시작 후 1~2년 내 약물 내성이 발생해 새로운 맞춤형 치료 전략 개발이 필요하다.

 

연구팀은 난치성 폐암 환자 34명으로부터 치료 과정 중 폐암의 재발시점마다 채취한 총 73개의 종양 샘플을 확보해, 종양의 유전적 변화를 시간 흐름에 따라 추적 분석했다. 이를 위해 연구진이 운영하고 있는 약물 반응성 예측용 ‘약물 유전체 플랫폼’을 활용했다.

 

연구진은 EGFR과 TP53* 돌연변이를 중심으로 종양의 진화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로 치료 저항성 기전과 효과적인 약물 조합이 달라짐을 규명했다. 특히 EGFR 변이가 소실되면서 내성이 발생한 환자군에서는 EMT(상피-중간엽 전이)* 활성화로 기존 타이로신 키나아제 억제제(TKI)에 대한 저항성이 나타남을 확인했다. 이어 단일세포 전사체 분석을 통해 두 가지 저항성 세포 유형을 명확히 구분했으며, 그 중 치료와 무관하게 잔존하는 세포군을 재발 위험 인자로 확인하고, 폐암 전이 및 예후 악화를 예측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로 활용 가능함을 제시했다.

 

연구진의 폐암 환자 세포를 활용한 약물 유전체 플랫폼은 실제 환자의 종양 반응과 높은 유사성을 보여, 향후 이를 기반으로 한 빅데이터 모델을 개발해 맞춤형 치료 전략을 고도화할 계획이다.

 

이번 연구는 국립암센터 공익적 암 연구사업과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자 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으며, 세계적 생명과학 저널이자 생화학분자생물학회 공식 학술지인 Experimental & Molecular Medicine(IF 12.9)에 최근 게재되었다.

 

<용어설명>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EGFR,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 세포 표면의 신호 수용 단백질로, EGFR에 돌연변이가 생기면 신호가 없어도 세포가 계속 자라 암 발생을 촉진한다. EGFR 표적 치료제는 이 잘못된 신호를 차단해 암세포 성장을 억제한다.

 

 타이로신 키나아제 억제제(TKI, Tyrosine Kinase Inhibitor) : 세포 성장과 분열에 관여하는 ‘타이로신 키나아제’라는 단백질이 있다. 일부 암세포에서는 이 단백질이 비정상적으로 작동해, 마치 ‘꺼지지 않는 스위치’처럼 세포가 계속 자란다. 타이로신 키나아제 억제제는 이러한 잘못된 신호를 차단하여 암세포의 성장을 늦추거나 멈추게 하는 표적치료제이다.

 

 TP53 : 암 억제 단백질 ‘p53’을 만드는 유전자로, 손상된 세포를 수리하거나 제거해 암 발생을 막는다. TP53에 변이가 생기면 손상된 세포가 계속 살아남아 암이 커지거나 치료 저항성이 커질 수 있다.

 

 EMT(상피-중간엽 전이,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 상피세포(벽돌처럼 단단히 붙어 있는 세포)가 더 느슨하고 이동이 쉬운 중간엽 세포로 변하는 과정이다. 원래는 상처 회복이나 발달 과정에서 필요한 현상이지만, 암세포에서 EMT가 일어나면 전이를 촉진하고 치료제에 대한 저항성을 높인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