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5 (수)

  • 맑음동두천 12.9℃
  • 맑음강릉 16.1℃
  • 맑음서울 14.1℃
  • 박무대전 12.6℃
  • 맑음대구 14.0℃
  • 맑음울산 17.6℃
  • 맑음광주 15.7℃
  • 맑음부산 20.5℃
  • 맑음고창 15.3℃
  • 구름조금제주 20.4℃
  • 맑음강화 14.1℃
  • 맑음보은 10.7℃
  • 맑음금산 9.9℃
  • 맑음강진군 17.2℃
  • 맑음경주시 15.8℃
  • 맑음거제 16.5℃
기상청 제공

젊은 유방암 환자, 수술 전 MRI 검사 시 동측 유방 내 재발 감소

호르몬 수용체 음성 유방암, MRI군이 비MRI군 대비 재발 위험 60% 낮아
호르몬 수용체 음성 그룹에서 수술 전 MRI의 뚜렷한 재발 예방 효과 확인
서울대병원 영상의학과 하수민·연희라 교수, 유방내분비외과 김홍규 교수팀

수술 전 MRI가 50세 이하 유방암 환자의 재발 예방에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서울대병원 연구팀이 규명했다. 특히 예후가 나쁘고, 재발률이 높은 ‘호르몬 수용체 음성 유방암’은 재발 위험이 60% 이상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젊은 유방암 환자의 맞춤형 치료 가능성을 높이고, 유방 MRI 기반의 정교한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중요한 가이드라인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유방암은 호르몬 수용체 유무에 따라 재발 양상이 다르며, 특히 호르몬 수용체 음성 유방암은 양성 대비 재발률이 높다. 50세 이하 유방암 환자는 유방 조직이 치밀한 경우가 많아 조기 진단이 어려울 뿐 아니라, 호르몬 수용체 음성 유방암 발생률이 높다.

▲[왼쪽부터] 영상의학과 연희라, 하수민 교수, 유방내분비외과 김홍규 교수

 

또한, 수술 후 동측 유방 내 재발(국소 재발) 가능성도 높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과 최적화된 수술을 위해 수술 전 ‘유방 MRI’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다.

유방 MRI는 유방암 검사 중 가장 민감도가 높아 유방촬영술과 초음파에서 놓친 종양도 탐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젊은 환자의 수술 전 MRI 검사가 장기적 예후에 미치는 영향, 특히 호르몬 수용체 상태에 따른 영향은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다.

서울대병원 영상의학과 하수민·연희라 교수, 유방내분비외과 김홍규 교수팀은 2011년부터 2017년까지 수술을 받은 50세 미만 유방암 환자 4,414명을 대상으로, 수술 전 MRI 실시 여부에 따른 장기 예후를 비교한 결과를 5일 발표했다.연구팀은 전체 환자를 MRI군(4118명)과 비MRI군(296명)으로 나눠 나이, 병기, 종양 크기 등을 통계적으로 보정했다. 이후 중앙값 7.7년간 후향적으로 추적해 5년 누적 재발률을 분석했다.

그 결과, 전체 재발률은 MRI군과 비MRI군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동측 유방 내 재발률은 MRI군이 유의미하게 낮았다(1.6% vs 3.3%).

 

호르몬 수용체 상태에 따른 하위 분석 결과, ‘호르몬 수용체 음성’ 그룹에서 수술 전 MRI 검사 효과가 뚜렷했다. 이 그룹의 MRI군은 비MRI군보다 동측 유방 내 재발률이 현저히 낮았을 뿐 아니라, 전체 재발 위험도 60% 이상 감소했다(8.2% vs 20.7%). 반면, 호르몬 수용체 양성 그룹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연구팀은 재발 위험이 높고 호르몬 치료 반응성이 낮은 호르몬 수용체 음성 유방암의 경우, 수술 전 MRI 검사가 정확한 진단과 치료 계획 수립을 돕고, 재발 예방에 기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장기 생존율, 구역(림프절 및 근처 부위) 재발률, 반대쪽 유방 재발률, 원격 전이 발생률은 수술 전 MRI 시행 여부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하수민 교수(영상의학과)는 “이번 연구는 젊은 유방암 환자의 MRI 결과를 장기 추적한 것으로, 특히 호르몬 수용체 음성 그룹에서 수술 전 MRI의 뚜렷한 재발 예방 효과를 확인했다”며 “이 결과는 50세 이하 유방암 환자를 위한 선택적 MRI 적용 근거를 마련하고, 종양 유형에 따른 영상 검사 전략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 결과는 영상의학 분야 국제학술지 ‘Radiology(IF; 15.2)’에 게재됐다.

 

[자료1] 수술 후 동측 유방 내 재발이 발생한 젊은 유방암 환자의 검사 결과

 

[자료1] 수술 전 MRI 검사를 시행하지 않은 50세 이하 환자의 수술 2년 후 유방 영상 검사 결과. 동측 유방 내 재발이 발생함. (A)유방촬영술 (B)유방초음파 (C)MRI

 

[자료2] 호르몬 수용체 음성 그룹의 누적 재발률

 

[자료2] 호르몬 수용체 음성 그룹의 누적 재발률. 5년 누적 재발률 분석 결과, MRI군은 비MRI군보다 전체 재발률(8.2% vs 20.7%)과 동측 유방 내 재발률(2.9% vs 10.0%)이 낮았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