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4 (월)

  • 맑음동두천 13.5℃
  • 맑음강릉 16.1℃
  • 연무서울 14.5℃
  • 연무대전 15.2℃
  • 맑음대구 16.5℃
  • 구름조금울산 17.1℃
  • 구름조금광주 16.5℃
  • 맑음부산 16.4℃
  • 맑음고창 14.9℃
  • 구름많음제주 18.2℃
  • 맑음강화 11.9℃
  • 맑음보은 15.0℃
  • 맑음금산 14.8℃
  • 맑음강진군 16.6℃
  • 맑음경주시 15.6℃
  • 맑음거제 15.4℃
기상청 제공

건강/연수강좌

초고령사회 진입하면서 노인 심부전 환자 급증

“80세 이상 4명 중 1명 심부전, 연령 높을수록 유병률 급격히 증가
겨울철 찬 공기·혈압 상승·감염이 심장에 무리, 생활습관 개선 중요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심장혈관내과 황희정 교수

초고령사회 진입과 함께 노년기 대표 질환인 심부전 환자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대한심부전학회 ‘심부전 팩트시트 2025’에 따르면 국내 심부전 유병률은 2002년 0.77%에서 2023년 3.41%로 약 4.4배 증가했다. 특히 연령이 높을수록 유병률이 급격히 상승해 50대 2.5%, 60대 6.3%, 70대 12.9%, 80세 이상 26.5%에 달했다. 심부전은 요즘처럼 날씨가 추워지는 겨울철에 악화 위험이 높아 노년층의 각별한 관리가 필요하다.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심장혈관내과 황희정 교수와 함께 심부전의 증상 및 치료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심장 펌프 기능이 약해지면서 발생하는 심부전

심부전은 심장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해 온몸에 혈액을 충분히 보내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심장은 하루 평균 10만 번 박동하며 혈액을 온몸에 공급해 산소와 영양분을 전달하고 노폐물을 운반하는데, 관상동맥질환, 심근경색 후유증, 장기간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 판막질환, 심근증, 부정맥 등 여러 원인이 누적되면 심장의 수축력이 감소하고 정상적인 심장 구조가 손상되어             ▲ 황 희정 교수 진료 사진                    전신 순환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심부전 상태가 된다.

 

겨울철, 심부전 악화 위험 높아져

심부전은 기온이 떨어지는 겨울철에 증상이 쉽게 악화된다. 찬 공기에 노출되면 혈관이 수축해 혈압이 오르고,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심장은 더 강하게 펌프질을 한다. 이때 에너지 소비와 심장 부담이 증가해 심장 기능이 약한 환자에게는 큰 위험 요인이 된다. 여기에 활동량 감소, 탈수, 감염, 염분 섭취 불균형이 겹치면 심부전이 급격히 악화될 수 있다. 또한 감기나 폐렴과 같은 호흡기 감염이 심부전 악화를 촉진해 입원이나 사망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많다.

 

호흡곤란, 다리 부종, 식욕 저하 등

심부전의 초기 증상은 매우 다양하다. 조금만 움직여도 숨이 차거나 누우면 호흡이 어려워지고, 다리나 발이 붓거나 체중이 갑자기 늘기도 한다. 또한 피로감, 식욕 감소, 복부 팽만, 밤중 잦은 배뇨, 기억력 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문제는 노년층의 경우 이러한 증상을 단순한 노화나 피로로 여기기 쉽다는 점이다. 심장혈관내과 황희정 교수는 “이런 가벼운 증상이 심장 기능 저하를 알리는 경고 신호일 수 있다.”면서 “흉부 X선과 심장초음파 검사를 통해 이를 쉽고 빠르게 진단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적절한 약물치료와 생활습관 개선 중요

심부전 치료는 손상된 심장의 부담을 줄이고, 혈액을 내보내는 펌프 기능을 보조하는 데 초점을 둔다. 기본은 약물치료다. 호흡곤란과 부종을 조절하는 이뇨제, 생존율을 높이는 ARNI 복합제(또는 ACE억제제), 베타차단제, 알도스테론 수용체 차단제, 그리고 SGLT2억제제가 핵심이다.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심부전에서는 심장재동기화치료(CRT), 삽입형 제세동기(ICD) 등 기기치료나 인공심장·심장이식 같은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다. 심부전은 완치되는 질환이 아니라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질환으로, 심장 기능이 호전되었다고 약을 중단하면 재발 또는 악화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꾸준하고 지속적인 치료가 필수적이다. 그 밖에 너무 짠 음식을 피하고 체중조절, 금연을 실천하는 등 전반적인 생활 습관을 개선해야 한다.

 

노년층 심부전 환자 겨울철 생활 수칙

노년층 심부전 환자는 겨울철에 특히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외출 시 체온이 급격히 떨어지지 않도록 방한을 철저히 하고, 실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해야 한다. 짠 음식과 국물 섭취를 줄이고 수분 섭취를 조절하며, 체중 변화를 꾸준히 확인해야 한다. 또한 독감·폐렴 백신 접종으로 감염을 예방하고, 복용 중인 약은 반드시 의사와 상의 후 조정해야 한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