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원장 이호성)은 사람의 망막 구조층과 미세혈관을 그대로 구현한 '망막 모사 안구 팬텀(Phantom)*'을 개발했다. 안과에서 쓰이는 영상진단 장비의 성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교정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해, 망막 질환 검사 정확도와 신뢰성을 한층 높일 전망이다. * 팬텀(Phantom): 의료영상기기의 성능을 평가‧분석‧조정하기 위한 도구로, 인체 대신 장비에 삽입돼 측정의 기준이 된다. 흔히 자동차 충돌실험에 사용되는 ‘더미(Dummy)’에 비유된다. 망막은 카메라 필름처럼 빛을 감지해 시각 정보를 뇌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최근 고령화와 전자기기 사용, 유전적 요인으로 인해 망막 질환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망막은 한번 손상되면 회복이 어려워 질환의 조기 진단과 모니터링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앞줄 좌측부터 시계방향으로 KRISS 이상원 나노바이오측정그룹장, 이태걸 책임연구원, 도일 의료융합측정그룹장, 이현지 박사후연구원) 현재 안과에서는 다양한 망막 질환을 알맞게 진단하기 위해 광간섭단층촬영(OCT), 형광안저혈관조영술 등 여러 영상진단 장비를 활용한다. 문제는 진단 장비의 측정값이 병원별, 제조사별로 달라도 이를 평가하
건국대학교 김양미 교수(시스템생명공학과) 연구팀이 기존 항생제에 반응하지 않는 다제내성 그람음성균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신개념 펩타이드 ‘Pap12-6-10’을 개발했다. 연구 성과는 의약화학 분야 최고 권위지인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에 지난 9월 19일 온라인 게재됐다. 최근 비만, 당뇨, 심혈관 질환 등 다양한 질환을 치료하는 펩타이드 기반 치료제가 주목받으며, 의약 화학 분야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왼쪽부터 김양미 교수, 김병권, 이진경, 손민원, 이채영, 정준호 학생 펩타이드는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작은 분자로, 높은 특이성과 효능, 낮은 부작용 등의 장점으로 다양한 질병 치료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 연구팀은 곤충이 세균 침입에 대응하여 생성하는 선천 면역물질인 파필리오신의 아미노산 서열에 착안하여, 12개의 아미노산이 연결된 짧은 신규 펩타이드 항생제를 설계하였다. 연구팀이 개발한 ‘Pap12-6-10’은 다제내성 그람음성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뿐 아니라 내성이 생길 가능성이 낮아 차세대 항생제 후보물질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세균 감염 시 과도한 면역반응을 유발하는 톨유사수용체 4(TLR4
국내 연구진이 대표적 난치성 혈액암인 급성 골수성 백혈병과 만성 골수성 백혈병의 생존 메커니즘을 밝혀 새로운 치료법 개발의 가능성을 열었다. 한국연구재단(이사장 홍원화)은 순천향대학교 의생명융합학과 권혁영 교수 연구팀이 종양 줄기세포가 아미노산 결핍 환경에서도 살아남도록 돕는 DEPTOR* 단백질의 핵심 분자 경로를 규명하여, 난치성 혈액암 치료의 새로운 전략을 제시했다고 2일 밝혔다. *DEPTOR: 세포 성장과 대사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로 mTOR 신호 억제 단백질. 이번 연구에서 KIF11 안정화와 대사 적응 조절 기능이 새롭게 규명됨. ▲ 권 혁영 교수 급성 골수성 백혈병은 조혈 전구세포*의 분화 이상으로 발생하며, 항암치료나 조혈모세포 이식치료에도 불구하고 환자의 5년 생존율이 약 24%에 불과한 실정이다. *전구세포: 더 이상 분화되지 않고 한 가지 유형의 세포로만 분화할 수 있는 줄기세포로, 특정 세포로 분화되기 전 단계의 미성숙 세포를 지칭함. 최근 연구에서는 백혈병 세포는 정상 세포와 달리 아미노산 대사에 의존하는 대사적 취약성을 보이며, 이러한 대사적 취약성을 표적하면 암세포 억제가 가능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하지만 백혈병 줄
심각한 호흡장애를 초래할 수 있지만 마땅한 치료 방법이 없던 폐 섬유증의 새로운 치료 가능성이 제시됐다. 섬유화 억제 유전자 ‘TIF1γ’가 간경변·신장섬유증에 이어 폐 섬유증에서도 치료 효과를 보인다는 사실을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규명해 ‘Molecular Therapy(IF;12)’에 게재했다. 폐 섬유증은 폐 세포가 딱딱한 섬유조직으로 변화하는 난치성 호흡기 질환이다. 진행될수록 폐 기능이 떨어져 저산소증이 발생하며, 심각한 호흡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나 한 번 섬유화된 폐 조직은 회복이 어렵고, 섬유화를 막을 방법이 존재하지 않아 치료에 한계가 있었다. ▲【 왼쪽부터】서울대병원 의생명연구원 김효수·이은주 교수, 서울대 문도담 박사 서울대병원 의생명연구원 김효수·이은주 교수(서울대 문도담 박사) 연구팀은 동물모델과 체외배양 환자 폐조직을 분석해 폐 섬유증의 유전자 치료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2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항섬유화 유전자 ‘TIF1γ’를 잠재적 치료제로 주목했다. 이 유전자는 연구팀의 기존 연구를 통해 간·콩팥에서 섬유화 억제 효과가 확인된 바 있으며, 실제 폐 섬유증 환자의 폐조직을 분석하자 TIF1γ 발현이 건강한 사람보다 현저히
고려대학교 의과대학(학장 편성범) 융합의학교실 조일주 교수 연구팀과 연세대학교 생명공학과 조승우 교수, 세브란스 어린이병원 소아신경과 강훈철 교수, 경북대학교 전자공학부 신효근 교수 연구팀이 뇌 오가노이드의 전기신호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약물의 효과를 직접 분석할 수 있는 차세대 약물 스크리닝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번 연구는 소아 뇌전증 환자의 줄기세포로 제작한 뇌전증 오가노이드 모델에서 직접 신경 신호를 측정했다. 이를 통해 약물이 실제로 환자에게 효과가 있는지를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기존의 간접적이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평가 방식을 근본적으로 ▲(좌측부터) 고려대 의대 융합의학교실 조일주 교수, 바꿀 가능성을 제시했다. 연세대 생명공학과 조승우 교수, 경북대학교 전자공학부 신효근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플랫폼은 최대 10개의 뇌 오가노이드를 동시에 배양할 수 있다. 시스템에 내장된 미세유체 칩으로 각 오가노이드에 최대 두 가지 약물을 각각 5단계 농도로 정밀하게 투입할 수 있다. 또한, 전극을 통해 오가노이드 내부의 신경 활동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어, 약물 효과를 뇌세포의 신경 신호 반응으로 직접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존에는 여러
신생아 장천공은 괴사성 장염 등으로 인해 장에 구멍이 생겨 생명까지 위협하는 치명적인 질환이다. 진단을 위해 엑스레이 검사로 복강 내 공기가 차 있는지 확인하는데, 영상에서 장천공 소견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아 정확한 판독이 쉽지 않았다. 서울아산병원 영상의학과 윤희망, 융합의학과 김남국, 신생아과 이병섭 교수팀은 인공지능으로 신생아 엑스레이 영상을 분석해 장천공 여부를 판별하고 병변 위치까지 찾아내는 인공지능 판독 모델을 개발했다고 최근 밝혔다. ▲(왼쪽부터) 서울아산병원 영상의학과 윤희망, 융합의학과 김남국, 신생아과 이병섭 교수 신생아 장천공 인공지능 판독 모델은 내부 검증 정확도 94.9%, 외부 검증 정확도 84.1%의 높은 성능을 보였다. 특히 신생아 장천공을 조기에 판별한다는 점에서 신생아 생존율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미숙아에게 주로 발생하는 장천공은 진단이 늦어지면 합병증 혹은 사망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그러나 신생아중환자실 특성상 영상의학과 전문의가 즉시 판독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오진이나 진단 지연으로 이어질 위험이 컸다. 또한 기존의 인공지능 판독 모델은 성인 데이터를 기준으로 개발되어 체구, 엑스레이 촬영 자세, 판독 소
인슐린 저항성이 높아지면 우울증 위험도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인슐린 저항성이 높아진다는 것은 몸의 세포가 인슐린에 제대로 반응하지 못해 혈당 조절이 어려워지는 상태를 의미한다. 인슐린 저항성이 높아지면 당뇨병 위험이 크게 높아지며, 이외에도 비만, 고혈압 등 다른 질환의 위험도 높일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인슐린 저항성이 정신건강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아직 정확히 알려진 바 없다. 이에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원장 신현철) 기업정신건강연구소 오대종 교수, 정신건강의학과 전상원·조성준 교수 연구팀은 2011년부터 2022년까지 강북삼성병원 종합건진센터에서 최소 2차례 이상 검진을 받은 23만 3천여 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인슐린 저항성과 우울증의 상관관계에 대해 분석했다. 연구팀은 인슐린 저항성의 지표인 HOMA-IR(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을 통해 4개 그룹으로 나눴으며, 우울증은 우울증 자가진단 척도(CES-D)를 통해 16점 이상인 경우 우울증으로 정의했다. 그 결과, HOMA-IR 값이 가장 높은 그룹은 가장 낮은 그룹에 비해 우울증 발생 위험이 약 15% 증가
중앙대학교병원(병원장 권정택) 피부과 박귀영 교수(교신저자)와 피어나의원 최호성 원장(제1저자) 연구팀이 독일 멀츠(Merz)가 개발한 인코보툴리눔 톡신-A 제제 ‘제오민(Xeomin®)’의 종아리 윤곽 개선 효과와 안전성을 입증한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Dermatologic Therapy’ 9월호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평균 연령 35세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종아리 근육에 단회 주사(총 150 ~ 200U) 한 후 1, 3, 6개월 동안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종아리 둘레와 근육 두께가 시술 후 모든 시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했으며(p<0.001), 환자와 의사 모두 90% 이상 만족을 표시하며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 특히 아시아 여성 종아리 전용 평가 지표인 ‘Merz scale’ 평가에서 ‘중증·매우 중증’ 환자가 6개월 시점에 절반 이하로 줄었고, ‘경도’ 평가는 뚜렷하게 증가했다. ▲ 박 귀영 교수 또한 시술 후 걷기, 달리기 등 일상 활동이나 운동에 지장이 없었고, 운동 여부가 효과의 지속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아 시술의 안전성과 편의성 역시 입증했다. 제오민은 불필요한 복합 단백질이 제거된 순수 톡신 제제로, 항체 형성에 따
전 NBC 뉴스 기자 찰스 서빈(Charles Sabine)과 미국의 전설적 포크 가수 우디 거스리(Woody Guthrie)의 공통점은 희귀 유전성 질환인 헌팅턴병을 앓았다는 점이다. 헌팅턴병은 근육 조정 능력 상실, 인지 기능 저하, 정신적 문제를 동반하는 대표적인 신경계 퇴행성 질환이다. 국내외 연구진은 이 병의 원인 단백질인 헌팅틴 단백질이 변형될 뿐 아니라, 세포 골격을 유지하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는 사실을 새롭게 규명했다. 이번 발견은 헌팅턴병의 발병 원인 이해를 넓히고, 세포 골격 이상이 관여하는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근위축증 등 다른 퇴행성 질환 연구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KAIST(총장 이광형)는 생명과학과 송지준 교수 연구팀이 오스트리아 과학기술원(ISTA), 프랑스 소르본느대/파리 뇌연구원(Paris Brain Institute), 스위스 연방공대(EPFL) 등과 국제 공동연구를 통해, 초저온 전자현미경(cryo-EM)과 세포생물학적 기법을 통해 헌팅틴 단백질이 세포골격 미세섬유(F-actin)를 다발 형태로 배열하는 구조적 원리를 규명했다고 1일 밝혔다. ▲ (왼쪽부터)생명과학과 송지준 교수, 김재성 박사과정, 김형주 박사
한국전기연구원(KERI) 청각인지뇌기능진단연구팀의 박영진 박사팀이 일상에서 간편하게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하여 경도인지장애를 선별할 수 있는 ‘AI 기반의 발화1) 및 뇌파 분석 기술’을 개발했다. 정부가 연내 수립할 ‘제5차 치매관리종합계획(2026년~2030년)’ 발표를 앞두고, 본 기술이 경도인지장애 고위험군 관리/치료 및 치매 조기 예방 분야에서 큰 주목을 받을 것으로 보고 있다. 경도인지장애는 기억력이나 인지 기능이 저하된 상태지만, 일상생활은 유지 가능한 치매의 전 단계다. 경도인지장애 고위험군 대상자를 지역사회에서 조기에 선별하고 적극적으로 치료할 수 있으면, 초고령 사회 진입에 따른 치매 인구 및 유병률을 낮출 수 있어 국가 재정 부담의 경감뿐만 아니라 개인적·사회적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한국전기연구원(KERI) 청각인지뇌기능진단연구팀 박영진(맨 왼쪽) 박사 하지만 현재의 검사 방식은 치매안심센터 등을 직접 방문해 지필 및 문답 중심의 검사 (인지선별검사, CIST)를 받아야 하며, 접근성과 신뢰도가 낮아 조기 선별이 쉽지 않다. 실제로 경도인지장애라는 용어조차 낯선 경우가 많고, 노년층은 경각심 없이 증상 인지와 검사 접근 모두에 어려
조선대학교(총장 김춘성) 의학과 류영상 교수가 체중과 무관하게 지방세포 기능을 개선하는 당뇨병 치료제의 새로운 기전을 규명했다. 이번 성과는 국제 전문 학술지 Cardiovascular Diabetology(IF 10.6) 최신호에 게재됐으며, 조선대학교·조선대학교병원 내분비대사내과 류영상 교수가 제1저자, 성균관대학교·강북삼성병원 내분비내과 박철영 교수가 교신저자로 참여했다. ▲(왼쪽부터) 류 영상 교수, 박 철영 교수 제2형 당뇨병은 인슐린이 제대로 작용하지 않거나 충분히 분비되지 않아 혈당이 높아지는 질환으로, 비만 및 대사증후군과 밀접하게 관련된 가장 흔한 만성질환 중 하나다. 연구팀은 제2형 당뇨병 환자 160명을 대상으로 24주간 새로운 당뇨병 치료제인 이나보글리플로진(enavogliflozin)의 임상시험을 시행했다. 그 결과, 이나보글리플로진이 체중이 줄지 않더라도 혈중 렙틴(leptin) 수치를 현저히 낮춰 혈당 조절 능력과 대사 건강을 개선한다는 효과를 확인했다. 이번 성과는 제2형 당뇨병 환자에게 단순한 혈당·체중 관리 차원을 넘어 지방세포 기능 조절을 통한 대사 건강 개선이라는 새로운 치료 가능성을 제시했다. 또한 심혈관질환 환자에게 S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ANC, Active Noise Cancellation)이 소음을 줄이는 것을 넘어, 집중력 유지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은 외부 소음에 반대되는 파동을 내보내 소음을 상쇄하는 기술이다. 최근 지하철이나 카페 등 소음이 많은 환경에서 이용하는 사람이 늘며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많은 사람이 편안한 청취를 체감하는 가운데, 삼성서울병원 이비인후과 문일준 교수, 청각연구실 윤희정(성균관대 삼성융합의과학원 학생)·조서영(성균관의대 학생), 국립한국교통대학교 AI데이터공학부 신재영 교수 연구팀이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이 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국제 학술지 ‘히어링 리서치(Hearing Research, IF=2.5)’ 최근호에 발표했다. <사진설명. 삼성서울병원 이비인후과 문일준 교수 연구팀은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 기능이 집중력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는 연구를 발표했다. 사진은 연구 참가자가 뇌파 측정 장치를 쓰고 연구방법을 설명 듣고 있는 모습.> 연구에는 정상 청력을 가진 성인 41명이 참여했다. 참가자는 소음 환경에서 20초짜리 단편을 들은 뒤 5초 이내에 사실 여부를 판단하는 과제를 수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