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23 (목)

  • 맑음동두천 6.1℃
  • 맑음강릉 7.7℃
  • 맑음서울 7.4℃
  • 맑음대전 10.1℃
  • 맑음대구 12.0℃
  • 맑음울산 11.9℃
  • 맑음광주 11.2℃
  • 연무부산 12.6℃
  • 맑음고창 8.6℃
  • 맑음제주 13.0℃
  • 맑음강화 4.8℃
  • 맑음보은 9.5℃
  • 맑음금산 8.9℃
  • 맑음강진군 12.7℃
  • 맑음경주시 11.9℃
  • 맑음거제 11.9℃
기상청 제공

미세먼지 노출 신장암과 전립선암 발병 위험 높인다

국민건강정보 데이터 분석 결과 미세먼지 노출 많은 그룹 비뇨기계암 발병 위험 더 높아 미세먼지가 심한 날애눈 실내 공간에서라도 꾸준히 운동하는 것이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 될 것 서울성모병원 박용현·단국대 노미정 교수팀

미세먼지 노출 신장암과 전립선암 발병 위험 높인다

미세먼지 노출이 우리나라 신장암과 전립선암 발병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결과가 국제학술지에 발표되었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비뇨의학과 박용현(공동교신저자), 단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노미정(공동교신저자), 단국대학교 자유교양대학 코딩교과 박지환(제1저자) 교수 연구팀이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2008년 건강검진을 받은 사람 중 ▲ 박 용현 교수 ▲ 노 미정 교수 ▲ 박 지환 교수 기준에 부합하는 231,997명을 분석하였다. 이후 AirKorea 미세먼지 데이터를 연계하여, 2005년부터 3년간 미세먼지 노출을 확인하였으며, 추적기간을 2010년부터 8년간 산정하였다. 미세먼지 등급은 한국 기준에 따라 좋음(0-30 μg/m3), 보통(31-80 μg/m3), 나쁨(81-150 μg/m3), 매우나쁨(> 150 μg/m3)으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의 지역별 비뇨기계암 발생률과 미세먼지 농도 분포가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그림) ▲그림 설명 : 우리나라 미세먼지 농도 분포와 지역별 비뇨기계암 발생률 이 중 새롭게 비뇨기계 암이 진단된 환자(50,677명)를 미세먼지 농도의 중앙값인 56 μg/m3를 기준으로 두 그룹으로 나누어, 미세먼지 노출에 따른 비뇨기계암 발병 위험률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미세먼지 노출이 많은 그룹(56 μg/m3 이상)의 비뇨기계암 발병 위험이 더 높았고, 특히 비뇨기계암 중 신장암과 전립선암 발병 위험이 높았다. 나이, 성별, 흡연, 음주, 당뇨, 고혈압 여부를 보정한 후에도 결과는 같았다. 미세먼지는 암을 일으키는 1군 발암요인으로 알려져 있으나, 유럽, 중국 등에서 진행된 선행 연구에서 비뇨기계암의 연관성은 결과가 상충되었다. 이번 연구는 한국의 대규모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변수를 보정한 뒤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고 상관관계를 입증하여 의미가 있다. 단국대학교 박지환 교수는 “장기간의 의료빅데이터와 AirKorea 미세먼지 데이터와 같은 다양한 공공 빅데이터와 연계하여, 환경이 우리나라 국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것” 이라고 연구의 의의를 설명하였고, 노미정 교수는 “연구를 진행했던 시기보다 최근 미세먼지가 더 심해지고 있고, 공기 오염 측정도 더 광범위하게 이뤄지고 있는 만큼 앞으로도 환경과 건강을 주제로 한 중장기적인 연구를 지속할 것” 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서울성모병원 박용현 교수는 “다만 이번 연구결과 규칙적인 신체활동을 하는 대상자의 경우 미세먼지 노출이 신장암과 전립선암 위험 증가에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조사 된 만큼, 미세먼지가 심한 날이면 실내 공간에서라도 꾸준히 운동하는 것이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암 전문학술지 ‘American Journal of Cancer Research’에 게재되었다.


지역 난치성 뇌전증 환자에 희망 비췄다

'입체뇌파전극삽입술(SEEG) 로 난치성 뇌전증 수술 성공적으로 마처 첨단 의료 로봇 활용 비수도권 최초 수술 성공 카이메로 시스템 활용 로봇 수술' 정밀성과 안전성 높아 수술 후 통증 덜하고 뇌출혈 부작용도 크게 줄여 인제대학교 해운대백병원 난치성 뇌전증 수술팀(신경과 김성은 교수, 신경외과 김해유 교수)

지역 난치성 뇌전증 환자에 희망 비췄다

지속적인 발작으로 고통받는 동남권의 난치성 뇌전증 환자들에게 지역에서 수술받고 치료받을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인제대학교 해운대백병원 난치성 뇌전증 수술팀(신경과 김성은 교수, 신경외과 김해유 교수)은 최근 '입체뇌파전극삽입술(SEEG, Stereo-Electro-Encephalo-Graphy)'로 난치성 뇌전증 수술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 김 성은 교수 ▲ 김 해유 교수 '입체뇌파전극삽입술'은 의료 로봇 시스템 '카이메로(Kymaro)'를 이용하여 뇌전증 병소를 정확히 탐지하고 뇌에 직접 전극을 삽입하는 첨단 기법이다. 통상 뇌전증 수술은 뇌전증 발생 부위를 찾기 위해 두개골을 절개한 후 뇌에 전극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환자 한 명당 10~20개 정도 전극을 삽입, 최소 5시간에서 최대 10시간 이상 걸리는 대수술이 불가피해 환자에게 부담이 컸다. 반면, 카이메로 시스템을 활용한 로봇 수술은 5∼10분이면 수술이 가능하다. 수술 과정의 정밀성과 안전성도 크게 향상돼 수술 후 통증도 훨씬 덜하고 뇌출혈 부작용도 크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같은 장점에도 '입체뇌파전극삽입술'은 고도의 전문성과 숙련이 필요해 국내에서 수도권 3개 병원에서만 제한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입체뇌파전극삽입술'을 수행할 수 있는 전문가 역시 10명도 되지 않는다. 이런 이유로 국내에서 시행되는 뇌전증 수술은 연간 100건 이하에 그치고 있다. 해운대백병원이 '입체뇌파전극삽입술'을 지역 최초로 성공함에 따라 항경련제로 효과를 보지 못한 난치성 뇌전증 환자나, 뇌종양 및 뇌혈관 기형 등 병소가 명확한 뇌전증 환자에게 정밀한 수술을 통한 치료의 길이 넓어졌다. 특히 수술이 필요한 동남권 지역 1만여 명의 뇌전증 환자들이 수도권까지 가지 않고도 국내 최고 수준의 치료를 받을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이번 수술 성공의 의미가 크다는 평가다. 신경외과 김해유 교수는 "이번 입체뇌파전극삽입술 수술 성공은 동남권 뇌전증 환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제시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난치성 뇌전증 환자들에게 맞춤형 치료를 제공하고, 지역 의료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해운대백병원은 뇌전증 치료의 선도 병원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국내 최고의 뇌전증 전문 병원들과 협력하여 진료 연계 시스템을 강화하고, 첨단 로봇 기술을 활용한 지속적인 치료 역량 강화를 통해 환자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앞장설 계획이다.







건강강좌

더보기
부모님의 무심코 한마디 건강 이상 신호일 수 있다
민족의 대명절 설날, 오랜만에 가족이 한자리에 모이는 만큼 부모님의 건강 상태를 살필 수 있는 소중한 기회다. “귀가 잘 안 들려”, “밤에 자꾸 화장실을 가” 등 부모님이 무심코 하는 한마디는 간과하기 쉬운 건강 이상 신호일 수 있다. ▲(왼쪽부터) 박정미 교수 김성진 교수 박계원 교수 홍유진 교수 평소에는 가벼운 불편으로 여겼던 말들이 사실은 질환의 초기 증상일 가능성이 있다. 이번 명절, 부모님이 지나치듯 하시는 말씀을 좀 더 주의 깊게 들어보는 건 어떨까. ◇ “자꾸 TV 소리가 작게 들리는 것 같아” 부모님이 TV나 라디오 소리가 작게 들려, 볼륨을 자꾸 높이게 된다면 ‘노인성 난청’을 의심해봐야 한다. 노인성 난청은 말 그대로 노인에서 노화로 발생한 청력 저하를 의미한다. 서서히 진행되는 것이 특징이기 때문에 처음에는 환자 본인도 잘 모르다가 중등도 난청 이상으로 청력이 떨어지게 되면서 뒤늦게 알아차리게 되는 경우가 많다. 강릉아산병원 이비인후과 박정미 교수는 “노인성 난청은 고주파 영역의 청력부터 떨어져 아이나 여성의 말소리와 같은 고음을 잘 들을 수 없게 되고, 단어의 받침을 잘 구분하지 못하여 말을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해 자주 되묻게 된다”고

제약

더보기

인터뷰

더보기

메디컬디바이스

더보기

단체

더보기
아산의학상' 임상의학부문 안명주 교수 · 기초의학부문 칼 다이서로스 교수 수상
아산사회복지재단(이사장 정몽준)은 제18회 아산의학상 수상자로 기초의학부문에 칼 다이서로스 미국 스탠포드대 생명공학 및 정신의학·행동과학부 교수(53세), 임상의학부문에 안명주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63세)를 선정했다 ▲ 제18회 아산의학상 수상자. (왼쪽부터) 기초의학부문 칼 다이서로스 교수, 임상의학부문 안명주 교수, 젊은의학자부문 박용근·최홍윤 교수 (아산사회복지재단 제공) 젊은의학자부문에는 박용근 KAIST(한국과학기술원) 물리학과 교수(44세)와 최홍윤 서울대병원 핵의학과 교수(38세)가 선정됐다. 제18회 아산의학상 시상식은 3월 18일(화) 서울 중구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열리며, 기초의학부문 수상자 칼 다이서로스 교수에게 미화 25만 달러, 임상의학부문 수상자 안명주 교수에게 3억 원, 젊은의학자부문 수상자인 박용근 교수와 최홍윤 교수에게 각각 5천만 원 등 4명에게 총 7억 7천만 원의 상금이 수여된다. 기초의학부문 수상자인 칼 다이서로스 교수는 빛에 반응하는 단백질을 이용해 생체 조직의 세포들을 빛으로 제어하는 유전학 기술인 광유전학(Optogenetics)의 창시자로서 감각, 인지, 행동의 세포적 기반을 이해하고 뇌와 행


정책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