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일헬스사이언스(대표 한상철)는 자사의 건강기능식품 전문브랜드 ‘쎈트힐’에서 4중 기능성 맞춤설계 유산균 ‘더퍼스트 포스트바이오틱스’를 새롭게 출시했다고 밝혔다. ‘더퍼스트 포스트바이오틱스’는 장 건강 기능성 원료인'프로바이오틱스유산균'과유산균의 먹이인 '프리바이오틱스', 그리고 부원료인 ‘유산균의대사산물’을 한번에 섭취하도록 설계한 포스트바이오틱스’로서 아연과 판토텐산까지 포함되어 있는 4중 기능성 제품이다. 이 제품에는 세계적으로명성 있는 ‘다니스코社’의 유산균 17종과 모유유래 유산균, 특허 받은 김치유래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이부원료 수준의 소량이 아닌, 기능성 효과를 제대로 발휘 수 있는 정도의 주원료로 구성되어 있고 초유분말, 유산균배양건조물, L-프롤린, 자일리톨, 딸기과즙 등 5종의 부원료까지 엄선하여 함유하였다. ‘더퍼스트 포스트바이오틱스’에는 현대인의 불규칙한 식습관 등으로 인해부족해지기 쉬울 수 있는 비타민B5 판토텐산과 아연이 일일 권장섭취량 100% 수준으로 함유된 것이 특징이며, 휴대가간편하여 어디에서나 편리하게 섭취가 가능하다. 하루 한 포로 간편하게 섭취가 가능한 ‘더퍼스트 포스트바이오틱스’는 1박스에 2개월 분이들어있다.
동아제약(대표이사사장 최호진)은 친환경 패키지를 적용한 ‘가그린 어린이용’ 3종(사과, 딸기, 풍선껌)을 리뉴얼 출시했다고 22일밝혔다. 새롭게 바뀐 가그린 어린이용은 재활용이 용이한 인몰드라벨 등 친환경적인 요소를 적용했다. 인몰드 라벨은 제품 접착 화학물질을 줄여 라벨 제거가 용이하다. 뜯는 곳 표시를 가시화하여 소비자들이 라벨을 제거하여 재활용률을 높일 수 있도록 유도했다. 앞서 2019년에는 가그린을 담은 용기도 투명하게 바꿨다. 이와 함께 멸종 위기 동물 보호의 중요성을 강조하기위해 반달가슴곰, 수리부엉이 등 총 9종의 멸종 위기 동물을디자인에 담았다. 향후 판매 수익금의 일부를 멸종위기종 보호기금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어린이용 가그린은 동아제약이 2009년 처음 선보인 어린이 전용 구강청결제다. 사과맛, 딸기맛, 풍선껌맛 3가지종류로 구성되어 있다. 어린이용 가그린은 충치예방과 입냄새 제거에 효과가 있으며, 타르색소와 알코올을 함유하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이외에도 동아제약은 소비자 알 권리를 충족시키기 위해어린이용 가그린에 불소 함유량을 기재했다. 또 구강보건사업에 이바지하는 제품에 부여되는 튼튼이 마크를획득했다. 동아제약 강주엽 BM은 “가그린
국제약품㈜(대표이사 남태훈, 안재만)은 ’세프디토렌피복실’ 성분의 세파계 항생제인 ‘디토렌세립(세프디토렌피복실)’을 2월에 새롭게 출시했다. ‘디토렌 세립’은 3세대 경구용 세펨계 항생제로 기존 세펨계 항생제에 비해 광범위한 항균 스펙트럼과 강력한 항균력을 발휘하여 16개 질환 15균종에 대해 적응증을 가지고 있다.다양한 감염질환의 치료에 큰 효과를 발휘하며 안전성 면에서도 우수한 제품이다. 특히, 다른 항생제들과 비교했을 때, 호흡기 질환의 주요 원인균(S.pneumoniae,H.influenzae)에 MIC(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최소억제농도) 측정결과 MIC50 ≤0.06, MIC90 1, MIC50 ≤0.016, MIC90 ≤0.016으로 다른 항생제들에 비해 현저히 낮게 측정됨을 확인 할 수 있어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보았을 때 내성 균주에 대해 탁월한 항균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균종별로 유효율을 살펴보면 포도상구균 90%, 폐렴구균 84.2%, 화농성 연쇄상구균 100%, 백일해 100% 등으로 총 제균율이 92%에 달한다. 적응증 중 인후두염 100%, 기관지염 97.1% 편도염 97.9
동아제약(대표이사 사장 최호진)은 트리메부틴 복합처방으로 효과가 빠른 소화제 ‘속이쿨정’을 출시했다고 18일 밝혔다. 속이쿨정은 트리메부틴 성분이 위장 운동을 촉진시킨다. 또소장 내에서 직접 작용하는 디아스타제∙프로테아제∙셀룰라제(탄수화물 소화), 리파제(지방 소화) 등의소화효소가 함유해 음식물을 효과적으로 분해하여 소화불량 증상개선에 도움을 준다. 이와 함께 위산 중화와 통증(진경∙진통)을 완화해 주는 성분이 들어가 있어 속쓰림, 위산과다, 위통, 위부불쾌감 등에도 효과가 있다. 복용방법은 성인 기준 1회 2정, 1일 3회 식후에 먹으면 된다. 속이쿨정은 일반의약품으로 처방전 없이 약국에서 구입할 수 있다. 동아제약 최정웅 BM은 “속이쿨정이 과식으로 인한 소화불량 증상을 빠르게 해결하는데도움이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 전체 소화제 시장에서 입지를더욱 넓혀 나가겠다”고 말했다.
JW생활건강이 체지방 감소 기능성 제품을 선보인다. JW중외제약의 계열사인 JW생활건강은 ‘마이 리즈 다이어트’를 출시하고 본격적인 마케팅 활동에 돌입했다고 16일 밝혔다. ‘마이 리즈 다이어트’는 탄수화물이 지방으로 합성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서 체지방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제품이다. 이 제품은 식약처가 효과를 인정한 기능성 원료인 가르시니아캄보지아추출물, 녹차추출물을 비롯해 원활한 배변활동에 도움을 주는 알로에전잎추출물을 주원료로 한국인 식습관에 맞춰 설계됐다. 주성분 외에도 유산균혼합분말, L-카르니틴, 생선콜라겐 등 15가지 엄선된 부원료를 꼼꼼하게 배합했다. 또한 개별 포장으로 휴대가 간편하며, 하루 2포씩 식후 물과 함께 섭취하면 된다. JW생활건강 관계자는 “마이 리즈 다이어트는 적절한 운동과 식이조절을 병행하면 더욱 큰 효과를 볼 수 있는 제품”이라며 “앞으로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하는 다양한 제품을 출시해 시장 점유율을 높여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제일약품(대표이사 사장 성석제)은 한국다케다제약(대표이사 문희석)의 만성변비치료제 ‘아미티자연질캡슐(Amitiza®, 성분명 : 루비프로스톤, 이하 ‘아미티자’)’을선보이기 위한 모든 절차를 마무리하고 2월 1일 발매, 새로운 시장 개척을 위한 발 빠른 행보에 돌입하게 된다고 밝혔다. 아미티자는 ▲성인에서 만성 특발성 변비의 치료제 ▲만성 비암성 통증성인 환자에서 마약성 진통제(opioid) 유발성 변비 치료제로서 2019년 5월, 식약처 품목 허가를 받았으며,2020년 3월에 제일약품과 국내 독점 프로모션 계약을 체결했었다. 제일약품은‘아미티자’ 출시를 맞아 지난 1월 19일(화), ‘아미티자 온라인 런칭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성황리에 마무리지은바 있다. 이날 심포지엄 좌장을 맡은 아주의대 소화기내과 이광재 교수(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이사장)는 “국내에 처음 선보이는새로운 기전의 변비 치료제인 만큼, 일상에서 불편을 겪는 성인 만성 변비 환자들에게 1차 치료 옵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일본을 포함한 미국, 유럽 등 주요 국가에서 지난 해에만 약 6,882억원의 판매를 기록하고 있는 ‘아미티자(주성분:루비프로스톤)’는 장의 끝에 있는
동화약품이 뿌리는 비염 치료제 ‘코마키텐나잘스프레이’를 출시했다. 코마키텐 나잘스프레이는 코감기(급성비염)와 알레르기성 비염, 부비동염으로 인한 코막힘, 콧물, 재채기, 머리무거움 증상 완화에 도움을 준다. 나잘스프레이는 비강 내에 약물이 직접 분사되는 투여방식으로 약제가높은 농도를 유지할 수 있고 전신 부작용을 최소화한다는 장점이 있다. 주성분인 자일로메타졸린염산염은 비충혈제거제로 신속히 비강을 확대하며 코막힘 개선 효과를 최대12시간까지 유지해준다]. 또한 클로르페니라민말레산염의 항히스타민 작용이 재채기와 콧물 등 증상을 완화해준다. 첨가제로 피톤치드 향이 들어있으며 습윤성을 높여주는히알루론산 나트륨이 함유되어 있어 비충혈제거제인 자일로메타졸린염산염으로 인한 콧 속 건조함을 개선해준다. 제품 용기로는 독일 Aptar社의특수펌프를 사용해 기존 펌프 대비 분사되는 분무량이 일정하다. 미사용 시 노즐 부위가 닫힌 상태로 유지되며, One way air flow 공기 필터 기술이 적용되어 균이침투하지 않아 위생적으로 사용 할 수 있다. 동화약품의 코마키텐 나잘스프레이는 20ml용량이며, 일반의약품으로 약국에서 구입할수 있다. 사용법은 7세 이상 소아 또는 성인에
일동제약(대표 윤웅섭)과 코오롱제약(대표전재광)이 가글형 입병치료제 ‘아프니벤큐액(일반의약품)’ 코프로모션 및 유통과 관련한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고11일 밝혔다. 이번 계약을 통해양사는 아프니벤큐액에 대한 마케팅 활동을 공동 추진하고, 일동제약은 약국 유통을 담당하게 된다. 아프니벤큐액은진통소염 성분인 디클로페낙이 함유된 가글형 치료제로, 치은염, 구내염, 인두염 등으로 인한 입안 염증 완화에 효과를 갖고 있으며, 기존치료제의 단점으로 꼽히는 사용 시 통증, 이물감 등을 완화한 제품이다. 아프니벤큐액은가글을 하는 동안 디클로페낙 성분이 입안 점막에 직접적으로 작용한다. 특히, 특허 받은 CDS공법을 적용해 디클로페낙 성분의 용해도를 높여 효과가빠르게 발현될 수 있도록 했다. 디클로페낙은 널리사용되고 있는 비 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로, 진통, 항염, 항균 효과를 지니고 있으며, 분자 크기가 작아 피부를 통한 약물전파에 유리하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스테로이드 성분, 알코올 성분이 들어있지 않아 관련 부작용을 줄였으며, 1회용 파우치 포장을 채택해 휴대와 사용을 간편하게 한 것이 특징이라고 회사 측은 밝혔다. 코오롱제약 정갑용헬스케어 사업부장은 “아프니벤큐는
동아제약(대표이사 사장 최호진)이 냄새원인 물질을 제거하는 탈취제 ‘무취로’를 발매한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로 실내 활동이 증가하면서 상쾌하고 쾌적한 실내공기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또 노년층과 반려가족 등이 증가하면서 탈취, 방향제 시장도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무취로는 이런 시대의 흐름에 맞춰 개발되었다. 무취로는 강한 향으로 냄새를 덮는데 그치는 일반적인 방향제를 넘어 냄새의 원인물질을 제거하여 견디기 힘든 수준의 심한 냄새까지 없애준다. 무취로는 피톤치드가 풍부한 편백잎, 삼나무잎, 시베리아 전나무오일 등 천연식물성 추출원료로 구성했다. 무취로는 ‘동아제약 시니어몰’(smartstore.naver.com/dongapharm)에서 구입할 수 있다.
2020. 12 JW중외제약은 리바로(성분명 : 피타바스타틴)의 당뇨병에 대한 안전성을 공인하는 국가가 기존 21개국에서 31개국으로 늘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에 추가로 확인된 국가는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레바논, 사우디아라비아, 바레인, 요르단, 쿠웨이트, 오만, 카타르, 아랍에미리트 등 총 10개국이다. 2016년 3월 영국을 시작으로 지난해 8월까지 포르투갈, 그리스, 독일, 프랑스, 아일랜드, 오스트리아 등 총 21개국 식약처가 이를 공인했으며, 동아시아, 중동 지역 10개국이 추가됨에 따라 현재 총 31개국에서 리바로의 의약품설명서(SmPC)에 ‘당뇨병 위험 징후 없음’ 문구를 삽입할 수 있게 됐다. 이는 스타틴 계열 중 유일하다. 해당 국가들은 피타바스타틴이 위약과 대비해 당뇨병 유발 위험을 18% 가량 낮췄다는 J-PREDICT 연구와 피타바스타틴 약제로 진행된 15개의 연구 결과를 종합 비교한 메타분석 연구 결과에 입각해 리바로의 안전성을 공식 인정했다. ‘오다와라 마사토’ 동경대 의대 교수가 2014년 발표한 ‘J-PREDICT’ 연구는 스타틴 계열 약물을 사용하는 내당능 장애를 동반한 이상지질혈증 환자 1,269명을 2007년부터 5년
동아제약(대표이사 사장 최호진)은 액상 소화제 ‘베나치오’의 연매출이 100억원을 돌파했다고 22일 밝혔다. 베나치오는 2009년 첫 출시되어 2016년 처음으로 연간 판매량 1,000만병을 돌파하며 액상 소화제 시장의 점유율을 넓혀갔다. 출시 이후 누적 판매량은 1억1,400만병으로 일렬로 세우면 서울과 부산을 17번 왕복하는 만큼의 길이에 해당하는 양이다. 베나치오는 위 운동을 촉진해 과식과 체함, 구역, 구토 같은 소화불량 증상을 개선한다. 무탄산 소화제로 위에 주는 자극을 줄였다. 특히 담즙 분비를 촉진시키는 회향 성분을 강화하여 기름진 음식과 육류 소화에 효과적이다. 지난 2014년에는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들을 대상으로4주간 임상시험을 실시해 전반적인 소화불량 개선을 확인했다. 베나치오는 제품군을 다양화하며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해왔다. 출시 당시 많은 용량을 한 번에 먹기 힘든 여성과 노인층을 위해 20mL 제품으로 나왔고, 2012년 알약 형태의 소화제와 함께 복용하기 좋은 75mL 제품을 추가하여 소비자의 선택 폭을 넓혔다. 또한, TV 광고 등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진행하며 브랜드 인지도를 높여왔다. 2018년에는 약사들의 투표로 ‘약국에
! 중환자실 적정성 평가 결과, 2차 평가에비해 1등급 기관수가 64기관에서 81기관으로 17개 기관 증가하는 등 전반적으로 중환자실의 의료서비스 질이 향상된 것으로 평가되었다. 상급종합병원의 종합점수는 98점으로 높은 질 수준을 유지하고 있었다.반면 종합병 원은 68.9점으로 2차평가에비해 4.7점 상승하였으나 의료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노력이 더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부와 심사평가원’은 중환자실의 균형적이고 지속적인 의료서비스 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제3차 중환자실 적정성 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심사평가원 누리집을 통해 12월 16일 공개한다고 밝혔다. 중환자실 적정성 평가는 종합병원이상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2014년 처음 실시한 후 2017년부터 격년으로 실시하고 있다. 종합병원은 100병상 이상을 보유하고 의료법에서 정하는 7~9개 진료과목을 갖추고 있는 병원이고, 상급 종합병원은 종합병원 중 중증질환에 대하여 난이도가 높은 의료행위를 할 수 있는 곳을 보건복지부장관이 지정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