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병원이 전국 35개 장기이식센터를 조사한 결과 35%만이 신장이식 대기자를 정기적으로 추적 관찰하고 있었고, 암이나 심장병과 같은 합병증에 대해서는 각각 63%와 17%만이 검진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다.
신장이식 대기자는 심장질환, 감염, 암 등의 발생률이 일반인보다 높다. 최근에는 대기자 중 당뇨병 환자와 고령 환자가 늘고 있어 여러 합병증에 대해서 보다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우리나라는 대기자에 비해 뇌사 기증자가 부족해, 신장이식을 받으려면 평균 4~5년을 기다려야 한다. 이 기간 동안 합병증으로 사망하는 대기자가 많다. 이식 받을 순서가 와도 관리 부주의로 인한 합병증으로 이식 기회를 놓치는 경우도 많다. 특히 신장암과 이식 받을 신장을 공격하는 항체 보유가 가장 큰 장애요인이다.
따라서 좀 더 많은 의료기관에서 이식 대기자의 건강관리와 이식 준비를 위한 체계적인 관리 프로그램 마련이 절실하다.
현재 이러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장기이식센터에서는 신장이식대기자 전용 외래를 개설하고, 전담 의료진이 정기적으로 건강상태와 이식 준비 상태를 확인하고 있다. 특히 신장이식 대기자를 고위험군과 저위험군으로 나눈 후, 간, 유방, 자궁경부, 피부, 폐, 전립선, 신장, 뼈, 심장, 감염 등에 대해 개인 맞춤형 정기 검진을 권장하고 이상이 발견되면, 조기에 치료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서울대학교병원 장기이식센터 양재석 교수는 “이식 대기자들이 4~5년을 기다린 후 어렵게 신장이식 받을 순서가 와도, 이식 받을 몸 상태가 안 되어 기회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며 “이식 대기자들의 관리를 위한 체계적인 프로그램 마련이 중요하다” 강조하였다.
KONOS(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에 의하면, 국내에서는 매년 1,000여명의 환자가 신장이식 대기자로 등록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 신장이식 대기자는 12,300명이나, 실제 뇌사자 신장이식은 768건에 불과했다.
해마다 신장이식 대기자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이식 분야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이 높아지는 만큼 성공적인 이식을 위해 신장이식 대기자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이식 대기자를 정기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 문의: 서울대학교병원 장기이식센터 02-2072-3550
<사례>
만성신부전증으로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권OO(54세, 남)씨는 신장이식을 받기 위해 지난 2009년 KONOS에 신장이식 대기자로 등록했다. 그 후 정기적으로 서울대병원 장기이식센터에 방문하여 ‘신장이식 대기자 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건강관리를 받았다. 특히 신장이식 대기자는 일반인에 비해 신장암이나 심장병에 걸릴 확률이 높다는 애기를 듣고 의료진의 권유에 따라 정기적인 검진을 받았다.
그러던 중 2011년 평소 신부전증 이외에 특별한 증상이 없었던 권 씨는 의료진의 권유대로 검진을 받았는데, 신장암이 발견되었다. 다행이 조기에 발견되어 수술을 무사히 받을 수 있었다. 권 씨의 수술은 성공적으로 끝났고 현재 양호한 상태로 신장이식 대기를 하고 있다.
<보충설명>
신장이식 대기자의 경우 등록 당시 검사를 한 후 3년 후부터 주기적으로 다음과 같은 검사를 받을 것을 권고합니다.
대상질환 |
검진대상 |
검진방법 |
검진주기 |
위 |
40세 이상 |
위 내시경 |
2년 |
고위험군: 위축성 위염, 장상피화생 |
매년 | ||
대장 |
50세 이상 |
대변잠혈검사 |
매년 |
대장내시경 |
5년 | ||
40세 이상 고위험군: 흡연자 대장암가족력(1대) |
대장내시경 |
시행권유 | |
간 |
40세 이상의 B/C형 간염 양성장 |
간 초음파 + AFP |
6개월 |
HBV DNA titer/ HCV PCR |
1년 | ||
유방 |
40세 이상 |
유방촬영 |
2년 |
치밀유방 확인 시 |
유방초음파 | ||
자궁경부 |
20세 이상 혹은 성 경험자 |
Pap smear |
매년 |
15세 ~ 26세 Virgin |
HPV vaccination | ||
피부 |
전체 |
피부검진 |
매년 |
폐 |
고위험군: 50세 이상 + (1) 혹은 (2) (1) 흡연자 혹은 20PY 이상 이전흡연자 (2) 1st degree 폐암가족력(+) |
흉부 저용량 CT 혹은 흉부사진 |
매년 |
전립선 |
50세 이상 |
PSA |
매년 |
신장 |
고위험군 (1) 신세포암 병력 (2) 후천성 낭성신질환 |
신장 CT 혹은 신초음파 |
매년 |
골 |
정상 |
DEXA |
2년 |
골소공증/ 골다공증 |
매년 | ||
심장 |
당뇨병 허혈성심질환 병력 |
심장초음파 MIBI SPECT |
매년 (교대) |
고위험군(≥3 위험인자): 60세 이상, 고혈압, 고지혈증, LVH, 1년 이상 투석병력 |
심장초음파 MIBI SPECT |
2년 (교대) | |
저위험군 |
심장초음파 |
3년 | |
감염 |
대기자 |
간염, 에이즈 |
1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