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2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질병정보

건선 매년 3월부터 증가하여 5월에 최다, 9월에 가장 적어

최근 5년간 외래진료비 40.7%,입원진료비는 59.5% 늘어나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2009년부터 2013년까지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건선(L40)’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인원은 2009155,995명에서 2013163,707명으로 최근 5년간 연평균 1.2% 증가하였다.

2013년 기준으로 남성이 전체 진료인원의 57.7%(94,478)으로 여성보다 1.3배 더 많으며, 최근 5년간 진료인원의 연평균 증가율 또한 남성이 여성에 비해 2배 더 높았다.

건선(psoriasis)은백색의 비늘로 덮여 있고, 경계가 뚜렷하며 크기가 다양한 붉은색의 구진이나 판을 이루는 발진이 전신의 피부에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피부질환이다.

팔꿈치, 무릎, 엉덩이, 두피, ·발바닥의 피부와 손톱, 발톱 등에 호발하나 전염되지 않는다

  2013건선월별 진료인원

구 분

1

2

3

4

5

6

7

8

9

10

11

12

진료인원

()

전체

36,739

35,507

37,327

38,361

40,825

38,298

37,646

34,954

32,721

34,684

34,558

35,199

남성

22,578

22,187

22,913

23,534

24,330

22,577

22,058

20,550

19,656

20,904

21,313

21,726

여성

14,161

13,320

14,414

14,827

16,495

15,721

15,588

14,404

13,065

13,780

13,245

13,473

 

연령별로 살펴보면, 30대 이후 중장년층이 전체 진료인원의 절반 이상으로 2009년에는 57.7%, 2013년에는 58.8%를 차지했으며, 대부분의 환자가 20세 이상 성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피부과 조남준 교수는 건선은 전 연령층에서 나타날 수 있지만우리나라의 경우 20대의 최초 발병률이 가장 높으며, 완치가 어렵고 증상의 호전과 악화를  우리나라의 경우 20대의 최초 발병률이 가장 높으며, 완치가 어렵고 증상의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며 장기간 지속되는 만성 피부질환이기 때문에 연령의 증가와 더불어 환자 수도 늘어나게 된다 하였다. 대한건선학회에 따르면 대체로 성별에 따른 유병률 차이는 없으나 우리나라에서 남성의 발병률이 조금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남준 교수는 건선은 일조량과 습도의 영향으로 주로 겨울에 악화되고 여름에 호전되는 경향이 있지만 약 5% 정도는 자외선에 의해 악화되는 광과민건선인 경우라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며, 3월부터 5월까지 월별 진료인원 수가 늘어나는 것은 계절에 따라 질환의 경중이 달라지기보다는 피부 노출이 늘어나는 시기에 내원하는 환자가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고 하였다. 기후(일조량이 적고 건조한 겨울), 때밀기 등 과도한 각질 제거 및 피부 건조는 그 자체로 건선을 일으킨다고 볼 수는 없으나 건선의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는 요인이다.

따라서 대한건선학회는 건선 환자는 피부를 세게 문지르거나 긁어서 자극을 주거나 상처가 나지 않도록 하고, 몸을 조이는 옷은 피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또한 일반인에 비해 계절 변화에 따른 피부 기능 조절 능력이 저하되어 있으므로 피부가 건조하지 않도록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고 보습제를 사용하며, 과로와 스트레스를 피하고 흡연과 음주를 삼가는 것이 증상의 악화와 재발을 예방하는 데 중요하다고 하였다.

 

2009년부터 2013년까지 건선진료에 지출된 건강보험 진료비는 20092799천여 만원에서 20133446천여 만원으로 23.1%증가하여 연평균 5.4%증가세를 보였다.

진료형태별로 살펴보면 2013년 기준 전체 진료비의 51.8%를 외래 진료비가 차지했고 약제비(47.4%), 입원 진료비(0.8%)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전 년도와 달리 최근 외래 진료비의 비중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 새 약제비가 20091513천여 만원에서 20131634천여 만원으로 8.0% 증가한 반면, 같은 기간 외래진료비는 1268천여 만원에서 1784천여 만원으로 40.7% 증가하였고 입원진료비는 59.5% 증가하였다.

 

진료형태별 건선건강보험 진료비 현황(2009~2013)

구 분

2009

2010

2011

2012

2013

연평균 증가율(%)

총진료비

(백만원)

전체

27,990

28,898

31,750

33,430

34,465

5.4

입원

171

198

224

241

273

12.4

외래

12,682

12,722

13,802

14,831

17,844

9.1

약국

15,137

15,978

17,724

18,358

16,347

2.3

총급여비

(백만원)

전체

18,706

19,349

21,196

22,077

22,140

4.4

입원

131

155

173

186

215

13.2

외래

7,906

7,918

8,510

8,930

10,379

7.2

약국

10,669

11,277

12,513

12,960

11,546

2.3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피부과 조남준 교수는 이같은 현상을 건선은 대부분의 경우 연고를 사용한 국소치료를 시행하기 때문에 약제비의 비중이 높고, 입원치료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나 최근 개발된 생물학적 제제의 사용이 늘면서 병원 내 치료가 증가함에 따라 입원비가 빠르게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하였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피부과 조남준 교수는 건선(L40)’ 질환의 증상, 원인 및 치료와 관리요령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건선의 발병 부위 및 주요 증상

- 건선은 초기에 팔꿈치, 무릎 등 접히는 부위와 엉덩이 등에 홍반, 비늘 및 피부가 두꺼워지는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주로 대칭으로 나타나고 경계가 분명한 특징이 있다.

- 임상적 양상과 치료에 대한 반응은 환자마다 다양하나, 환자의 50~70%에서는 가려움이 동반되고 30~50%에서는 손·발톱에서도 건선에 따른 변화가 나타난다.

  건선의 원인

- 건선의 발병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지금까지 알려진 내용을 종합하면, 건선의 유전적 원인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환경적 인자의 반복적인 자극으로 피부의 면역체계가 활성화되어 피부각질형성세포 증식에 관여하는 T세포의 활동에 영향을 미치고, 이와 함께 여러 면역물질들이 생성되어 각질형성세포 분화 이상 및 증식, 혈관 형성, 염증세포 침윤 등으로 인해 건선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건선의 치료 및 관리

- 건선의 원인이 분명하게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에 100% 예방하거나 완치하기는 어려우므로, 고혈압이나 당뇨와 같이 증상을 조절하는 질환이라 할 수 있다.

- 따라서 건선의 치료 목표는 심각한 부작용 없이 병변이 완전히 소실되거나 현저히 호전되도록 하고 장기간 재발을 억제함으로써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는 좋은 상태를 장기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러 가지 방법들이 쓰이고 있는데 크게 약을 바르는 국소치료, 광선을 쪼이는 광치료, 약을 먹는 전신치료 등이 있다. 이 중 1가지만 사용하는 단독치료, 치료 효과를 높이고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2가지 이상을 함께 사용하는 복합치료, 여러 가지 치료법의 조합을 순서를 정해서 차례로 바꾸어 사용하는 순차치료 등이 있고 최근에 개발된 생물학적 제제를 쓰기도 한다.

- 치료방법은 건선의 심한 정도, 활성도, 병변의 형태와 상태, 발생부위에 따라 선택하게 되며 환자의 나이, 건강 상태, 치료 접근 가능성도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경증인 경우는 국소치료, 중등증인 경우는 국소치료와 광치료, 중증인 경우는 국소치료와 광치료, 전신치료를 모두 시행하고 이들 치료에 효과가 없는 경우 생물학적 제제를 사용할 수 있다. 모든 치료에 부작용이 수반되므로,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대한건선학회는 전문 지식과 경험을 갖춘 전문의를 정하여 꾸준히 한 곳에서 치료받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권고하고 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