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4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기업

Pharm Fair, 8백억 규모의 수출 성사

국내 6개제약사, 해외 7개사화 MOU체결

보건복지부(장관 임채민)와 보건산업진흥원(원장 고경화)는「BIO KOREA 2012」행사 마지막 날인 9월14일 오전「Pharm Fair」행사에서 국내 6개 제약사가 중동, 동남아, 미주, 러시아권 등 해외 7개사와 총 7,400만불(약 8백억원, 5년치) 규모의 수출 계약 및 MOU 조인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 수출계약 및 MOU 체결 내용 >

연번

계약자

계약 내용

해외기업

국내기업

1

Pharmex

(우크라이나)

대웅제약

o 이오프로마이드(CT조영제) 수출

o 약 1,600만불 규모 (5년)

o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카자흐스탄까지 수출

2

PT Sri Aman

(인도네시아)

일동제약

o 비타민 원료 수출

o 약 70만불 규모 (3년)

3

PT SOHO

(인도네시아)

o 전략적 업무 제휴

o 약 60만불 규모 (3년)

4

Interchem

(미국)

삼양제넥스 바이오

o 제네릭 항암주사제(넥사틴․도세탁셀) 수출 MOU

o 연간 약 1,000만불 규모 (‘16년부터)

5

Manousha Pharma (이란)

한국콜마

o 카라벤 연질 캅셀 수출

o 총 50만불 규모 (3년)

6

Propharma (UAE)

동아제약

o 동아제약 ‘자이데나’의 UAE 진출을 위한 양사 협력 관계 구축 MOU 체결

7

Jingsu Huanghe Pharmacy Share (중국)

유유제약

o 총 8개 주요 건강기능식품․의약품 중국 수출등록 및 판매 협력

* 비타민․미네랄 함유제품, 오메가-3, 글루코사민, 골다공증 복합신약 맥스마빌 등

o 연간 100만불 규모

 

이날 성사된 계약규모는 국내1위 수출기업(LG생명과학)의 2011년 완제의약품 수출총액에 달하며, 연간 수출효과로 환산시 연간 160억으로, 국내 1위 완제의약품 수출품목 뉴로녹스주의 연간수출액 1.2배, 2위 수출품목인 헤파박스진 및 헤파박스진티에프 주의 연간수출액 1.6배에 달하는 액수이다.


이는 최근의 미국․EU 등 제약 선진국과의 FTA 체결과 세계적인 ‘Open Innovation 전략’ 추세에 따른 해외기업과의 협력 등에 따른 우리 제약기업들의 글로벌 진출 노력의 성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각 제약사는 이번 계약 체결과정에서의 난관을 밝히며, 각각의 극복방법에 대해서도 전했다.


동아제약의 경우 민-관 협력으로 현지 유력사 접촉하여 MOU체결 성공시킨 사례로, 복지부의 지난 4월 Medical Korea 행사에서 UAE 당국자가 동아제약 ’자이데나‘에 관심을 보임에 따라 제3차 한-UAE 공동위(5.6~5.9)에서 복지부․동아제약 공동으로 UAE 당국에 동아제약 제품(자이데나)을 소개하고, UAE 당국으로부터 현지 유력 유통사인 Propharma사를 소개받아 수출 촉진 MOU 체결을 이끌어냈다.

 

유유제약은 보건산업진흥원 중국지소의 지원 등을 통해 중국의 복잡한 인․허가 과정 및 경험부족 극복 중국의 의약품 허가등록 절차가 복잡하여 경험이 부족한 기업으로서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중국의 보건산업진흥원 수출지원센터로부터 인․허가 절차에 대한 정보와 현지 유력 유통사인 황하그룹과 접촉 주선 등을 지원받아 건강기능성식품 및 의약품 판매와 수입등록 등 전략적 제휴를 이끌어 냈다.


삼양제넥스바이오의 경우도 적절한 파트너를 찾지 못해 미국시장 진출에 곤란을 겪던 중, 미국 내 항암제 부족 상황을 활용하여 미국 제약기업과 전략적 제휴를 맺었다.


한국콜마는 수출 타겟국가의 인․허가제도 및 관계 보건국의 정책 등의 정보를 현장 중심으로 파악하여 수출계약 성공했다.

이란은 필수의약품이나 수입지정의약품이 아닌 경우 관세율이 40~60% 정도로 높아 수출이 어렵다. 이에 따라 한국콜마는 ‘수입지정의약품’ 수출을 전략으로 하고 M&A를 통해 cGMP(미국 의약품 품질규격) 공장을 확보 하는 등 품질을 확보하여 이란회사와 수출계약을 이끌어냈다.


일동제약은 수출전략국의 인․허가 정보체계를 전략적으로 활용하여 기술수출 등 수출 다변화를 추진하였다.

인도네시아는 자국의 완제의약품 인․허가규정이 한국과 상이하여 한국 의약품을 저평가하여, 완제의약품 수출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완제의약품 수출 대신 원료공급 및 기술 수출전략으로 선회하여 의약품 원료제공과 현지 생산이 가능하도록 노하우를 제공하는 전략적 제휴와 원료의약품 수출계약을 이끌어냈다.


마지막으로 대웅제약은 수출전략국의 현지 정보 등 현장중심의 네트워킹을 통해 수출계약 성사시켰다.

러시아 및 CIS 지역은 연 20조원의 규모와 연평균 두 자리수 성장률의 유망한 시장이나, 현지 인․허가규정, 시장, 업체에 대한 정보 부족, 언어문제가 큰 장벽이 되었다.

그러나 현지 학회 및 전시회에 직접 참석하고 여러 현지 제약사들과의 미팅을 통해 난관을 극복하고 수출계약 체결에 성공했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이태한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은 축사를 통해, 많은 난관을 극복하고 수출계약을 이뤄낸 양 당사자 모두의 노고를 치하하고 우리나라 제약산업의 높은 경쟁력을 소개했다.


이어 이 실장은 “우리 제약산업의 높은 잠재력을 잘 활용하여 저렴하고 품질좋은 의약품 공급을 통한 소비자 만족과 양국간 긴밀한 협력을 통한 산업발전을 달성하고, 오늘 계약이 향후 양국간 협력을 더욱 긴밀하게 하여 의약품 개발 전주기에 걸친 협력으로 발전하게 하는 계기가 될 것을 희망한다“고 밝혔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