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 해 건강기능식품 생산실적은 1조 8,230억원으로 ’14년(1조 6,310억원)에 비해 11.8% 증가하였으며, 건강기능식품 생산은 ’11년 이후 연평균 성장률 7.4%를 기록하며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지난 해 가짜 백수오 사건에도 불구하고 일상 속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 증가로 면역기능 개선 제품이나 비타민 등과 같은 영양보충용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한 것이 생산 증가의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15년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규모는 2조 3,291억원으로 ’14년(2조 52억원)에 비해 16.2%가 증가하였으며, ’11년 이후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지난 해 건강기능식품 생산실적을 분석한 결과 주요 특징은 ▲건강기능식품 생산 지속적인 증가 ▲면역기능 개선 제품과 비타민 및 무기질 제품의 생산 큰 폭 상승 ▲당귀혼합추출물, 헛개나무과병추출분말 같은 개별인정형 제품 판매 등이었다. 〈 건강기능식품 생산 지속적인 증가 〉 ’15년 국내 제조업 GDP의 전년 대비 성장률은 2.3%인데 비해 건강기능식품 생산은 11.8% 증가하여 고속 성장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품목별로는 홍삼제품의 생산실적이 6,943억원으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바이러스 수막염’에 대해 최근 5년간(2011~2015년) 심사결정자료(건강보험 및 의료급여)를 분석한 결과,매년 약 1만5,000명(2015년 약 1만6,000명) 정도가 진료를 받고 7~9월에 진료인원이 많은 것(2015년 9월 4,114명)으로 조사되었다. 진료인원이 가장 많은 연령구간은 10세 미만 아동으로 2015년 기준전체 진료인원의 59.2%를 차지하였다. 바이러스 수막염은 바이러스가 뇌와 척수를 싸고 있는 막(뇌수막)에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초기에는 감기와 비슷한 증상이 나타난다. 특별한 치료 없이 자연적으로 호전될 수 있지만 열과 두통, 구토 증세가 동반될 경우 이를 완화시키는 치료가 필요하다. 최근 5년간 (2011~2015년)의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결정 자료에서 나타난 ‘바이러스 수막염‘의 진료 추이를 살펴보면, 진료인원은 연 평균 약 1만5,000명으로, 최근 2015년에는 약 1만6,000명이 진료를 받았다. 총진료비는 2015년 기준 약 80억원으로 최근 5년 중 가장 많았는데 이는 입원 진료가 증가하면서 진료비가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전체 진료인원은 2015년보다 2012년에 더 많았지만, 입원 진
과도한 음주가 원인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금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10년부터 2015년까지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바에따르면 2015년 기준, 알코올성 간질환으로 진료 받은 인원은 12만 7천명으로 남성은 11만 명, 여성은 1만 7천명으로 나타났다. 남성과 여성의 진료인원 차이는 2010년 10만 9천명에서 2015년 9만 3천 명으로 감소하였지만, 여전히 6.4배로 나타났다. 2015년 기준으로 50대(42,012명, 33.0%)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60대 이상 (39,894명, 31.4%), 40대(28,313명, 22.3%), 30대(12,992명, 10.2%) 순으로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령이 높아 질수록 진료인원이 증가하였고, 50대 이상이 전체 진료인원의 64.4%를 차지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소화기내과 이천균 교수는 50대 이상에서 알코올성 간질환자가 많은 이유에 대해 “생의 가장 생산적인 군이 며, 정신적 · 사회적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받는 40대에서의 과다한 음주가 10년 이상 지속되어 50대 이후에 알코올성 간질환 등의 신체적 장애가 많이 발생하며, 금주 등의 적절한 조절이 필요한
최근 부산 해운대에서 20여명의 사상자 발생한 참담한 교통사고의 가해차량 운전자가 뇌전증 환자라는 것이 전 국민에게 알려지며 “뇌전증”이 다시 한번 뜨거운 감자가 됐다. 경찰 조사에 따르면 가해 운전자는 지난해 9월 뇌전증 진단을 받았다고 한다. 가해 운전자의 사고발생 원인으로 지목된 뇌전증은 뇌의 비정상적인 과흥분이나 과동기화로 인하여, 발작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만성 신경질환이다. 약물 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질병이다. 대한뇌전증학회의 뇌전증 역학조사보고서에 따르면 뇌전증은 전 세계적으로 약 6,500만명이 앓고 있는 흔한 질환이다(WHO, 2004). 뇌전증의 유병률은 인구 1,000명당 2.2명에서 41명으로 보고되고 있다. 우리나라 전체 유병 환자수는 2012년 기준 19만 2,254명으로 인구 1,000명당 4명으로 추정된다. 뇌전증의 유병률은 실제 환자 수보다 적게 나타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환자 자신이나 보호자들이 증상을 인지 못하는 경우가 적지 않으며, 부정적 사회 인식이나 차별로 인하여 환자 자신 및 가족들이 뇌전증을 앓고 있는 사실을 숨기고 싶어하거나, 의료제도 이용을 거부하는 경우도 적지 않기 때문이다. 신원철 강동경희대학교병원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11년부터 2015년까지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하여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유방암’ 질환으로 인한 진료인원은 10만 4,293명(2011년)에서 14만 1,379명(2015년)으로 4년 간 3만 7,086명 35.6%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진료비는 4년 간 4,414억 원(2011년)에서 5,962억 원(2015년)으로 1,548억 원(35.1%↑)증가하였다. 2011년부터 4년 간 진료인원 7.9%, 진료비 7.8%라는 연평균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유방암이란 유방에 생긴 암 세포로 이루어진 종괴(만져지는 덩어리)이다. 일반적으로 유방암은 유방의 유관과 소엽에서 발생하는 암을 일컫는다. 2015년 인구 10만 명 당 유방암 진료인원은 280명으로 2011년 207명 대비 73명(35.6%↑) 증가하였다. 연령대별로 분석해본 결과, 2015년 기준 인구 10만 명 당 진료인원은 50대 671명, 60대587명, 40대 419명 순으로 많았다. 또한, 고 연령일수록 2011년 대비 2015년 진료인원 증가율이 높았다. 공단관계자에 따르면 “40-60대의 인구 10만 명 당 진료인원이 타 연령대에 비해 많은 이유는 유방암 건강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기석)는 수족구병이 26주(51.1명)이후 감소세로 전환되었으나 예전의 최고치(35.5명) 보다 높은 수준이고, 8월까지 유행이 예측된다며 지속적인 주의를 당부하였다. 수족구병 의사환자수(유사증상환자)는 2016년 26주 51.1명(/외래환자 1,000)에서 27주 49.5명, 28주 45.4명, 29주(7.10∼16) 41.0명(잠정치)으로 3주 연속 감소하였고, 0-6세도 46.9명(28주 51.4명)으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의사환자수가 여전히 과거 최고치(2014년 25주 35.5명) 보다 높은 수준이고, 합병증을 동반한 수족구병도 지속 보고(2016년 7월까지 10건)되고 있어 감염 예방 및 확산 방지를 위해 노력해 줄 것을 거듭 강조하였다. 따라서, 수족구병 예방·관리를 위해 가정과 어린이집 등에서 아이 돌보기 전·후 철저한 손씻기 및 주위 환경을 청결히 하고, 손, 발, 입안에 붉은 반점 또는 물집이 생기거나 열이 나는 등 수족구병 의심증상이 있으면 즉시 가까운 병의원에서 진료를 받도록 하며, 치료기간 동안에는 확산 방지를 위해 어린이집, 유치원 등 등원을 중지하고 자가 격리할 것을 권고하였다. 아울러, 수족구병 환자가 고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은 ‘외이도염’에 대해 최근 5년간(2011~2015년) 심사결정자료(건강보험 및 의료급여)를 분석한 결과, 매년 약 160만명(2015년 약 158만명) 정도의 진료인원이 발생하며, 특히 8월에는 귀 관련 질환 중 3명 중 1명이 ‘외이도염’ 진료인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8월에 진료인원이 증가하는 이유는 소아·청소년의 여름철 물놀이 등으로 인해 ‘외이도염’이 발생할 수 있는 조건에 많이 노출되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외이도염’은 고막 밖인 외이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겉으로는 큰 이상이 보이지 않으나 귀의 통증, 멍멍함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물놀이, 샤워 시 귀 안으로 물, 이물질이 들어가거나, 여러 이유로 인해 귀안이 습해지는 경우 쉽게 발생한다. 최근 5년간 (2011~2015년)의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결정 자료에서 나타난 ‘외이도염‘의 진료 추이를 살펴보면,진료인원은 평균 160만명정도 수준으로 최근 2015년에는 약 158만명이 진료를 받았으며 총진료비는 2015년 기준 약 539억원으로 2011년부터 연평균 3.3%씩 꾸준히 증가추세를 보였다. ‘외이도염’ 진료인원은 주로 여름에 증가하는데, 특히 8
‘자외선에 의한 기타 급성 피부변화로 2015년 진료받은 인원은 약 2만1000명으로 진료비용은 약 5억5000만원이었다.2015년 기준 진료인원이 가장 많은 달은 7월로 가장 적은 12월에 비해 약 7.6배인 4,700명이 진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사평가원’)은 ‘자외선에 의한 기타 급성 피부변화’에 대해 최근 5년간(2011~2015년) 심사결정자료(건강보험 및 의료급여)를 분석한 결과,확인되었다. 자외선에 의한 기타 급성 피부변화는 자외선 노출이 가장 큰 원인이며 두드러기, 발진, 수포 등이 발생한다. 심한 경우 화상, 쇼크 등이 나타나 여름철 야외 활동 시 긴 옷, 모자, 자외선 차단제를 이용하여 자외선을 차단하여야 한다. 자외선 지수를 확인하여 지수가 높은 날은 야외 활동을 자제하고 피부에 붉은 기운이 보일 경우 즉시 햇빛을 차단하고 증상이 이어질 경우 의사의 진료가 필요하다. 최근 5년간 (2011~2015년)의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결정 자료에서 나타난 ‘자외선에 의한 기타 급성 피부변화‘의 진료 추이를 살펴보면, 진료인원은 2015년 기준 약 2만1000명으로 2012년 이후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 2015년 ‘알레르기 비염’환자는 634만 1천 명으로 2010년 555만 7천 명보다 14.1% 증가하였다. 반면, ‘천식’ 환자는 2010년 223만 4천 명에서 2015년 166만 4천 명으로 25.5% 감소하였고, ‘아토피 피부염’ 환자도 2010년 105만 3천 명에서 2015년 93만 3천 명으로 11.4% 감소하였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이 환경의 날을 맞이하여, 환경 관련하여 대표적인 3개 질환(알레르기 비염, 천식, 아토피 피부염)에 대해 2010년부터 2015년까지 건강보험 지급자료를 분석하였다. . 연도별 주요 ‘알레르기‘ 질환 진료인원 현황 (단위 : 천명, %) 구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증가율 (‘10년대비’15년) 알레르기 비염 5,557 5,736 5,942 6,050 6,454 6,341 14.1 천식 2,234 2,186 2,083 1,836 1,792 1,664 -25.5 아토피 피부염 1,053 1,027 983 995 962 933 -11.4 주) 수진기준(주상병 기준, 한의분류 포함) 2015년 건강보험 적용인구 기준, '알레르기‘ 질환을 연령대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16년 1분기 전체 심사실적은 17조 1,28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5% 증가하였고, 이 가운데 건강보험 심사진료비는 15조 1,019억 원으로 나타났다. 전체 요양기관 수는 8만 8,500개로 2015년 말 대비 0.4% 증가했다. 치과병원 1.4%, 한방병원 1.2%, 의원 0.7% 순으로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국민건강보험공단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2016년 1분기 진료비를 분석하여 “건강보험 주요통계”와 “진료비 통계지표”를 작성하여 공동으로 발표하였다. 2016년 건강보험 1분기 심사진료비를 수가유형과 4대 분류별로 구분해서 살펴보면,행위별 수가 진료비가 13조 9,984억 원으로 전체 진료비의 92.69%를 차지하고, 정액 수가 진료비는 1조 1,033억 원으로 7.31%를 차지했다. 행위별 수가 진료비는 기본진료료가 27.8%(3조 8,902억 원), 진료행위료가 42.1%(5조 8,993억 원), 약품비가 26.2%(3조 6,737억 원), 재료대가 3.8%(5,353억 원)로 구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보장 인구 5,208만 명 중, 건강보험 적용인구는 5,054만 명으로 2010년 대비 1,629명 늘어 0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자궁경부암'에 대해 최근 5년간(2011년~2015년) 심사결정자료(건강보험 및 의료급여)를 분석한 결과, 매년 약 5만명 이상(2015년 5만5천명)이 진료를 받고 있으며,진료인원의 대부분(2015년 96.1%)은 30세 이상이지만 30세 미만 진료인원도 매년 약 2천명 이상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궁경부암’은 자궁 경부(입구)에 발생하는 악성종양으로 인유두종 바이러스(HPV) 등의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요 증상으로는 질 출혈, 분비물 증가가 있으며 진행되면서 혈뇨, 직장출혈, 허리통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다른 암과 달리 예방접종으로 예방이 가능하며 조기 발견 시 완치율이 높은 편이다. 최근 5년간 (2011년~2015년)의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결정 자료에서 나타난 ‘자궁경부암‘의 진료 추이를 살펴보면, 진료인원은 2015년 기준 약 5만5천명이었으며 연평균 진료인원은 약 5만4천명이었다. 총진료비는 2015년 기준 약 856억원으로 5년 전에 비해 7.0% 증가하였으며, 연평균 증가율은 1.7%로 나타났다. 표1 . 자궁경부암 여성 진료인원 및 총 진료비 현황 (2011년~2015년) 구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10년~2015년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하여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알레르기 유발 항원으로 인해 발생되는 ‘알레르기성 결막염(H10)’ 질환으로 인한 진료인원이 2010년 467만 7천 명에서 2015년 429만 3천 명으로 2010년 보다 8.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알레르기성 결막염(H10)은 알레르기 유발 항원이 눈의 결막에 접촉하여 결막에 과민반응을 유발하여 발생한 결막의 염증질환을 알레르기성 결막염이라고 한다. 표1. 최근 6개년 ‘알레르기성 결막염’ 진료현황 (단위 : 천명, 백만원) 구분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10년대비’15) 증감율 진료인원 전체 4,677 4,564 4,685 4,625 4,393 4,294 ∆8.2 남자 1,931 1,856 1,913 1,896 1,796 1,767 ∆8.5 여자 2,746 2,708 2,772 2,730 2,597 2,527 ∆8.0 진료비 전체 206,510 203,742 209,224 211,636 212,100 216,869 5.0 남자 82,904 80,238 82,874 83,856 83,474 85,885 3.5 여자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