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1 (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심방세동 시술 후 경구 항응고제 단약, 출혈 등 위험성 떨어져

뇌졸중이나 중요 장기 출혈 등 발생 위험성 최대 87.5% 낮아짐 확인
경구 항응고제' 전극도자 절제술 시행시 혈전으로 인한 뇌졸중 예방
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정보영, 김대훈 연구팀

심방세동 시술 후 경구 항응고제를 끊으니 출혈 등 위험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정보영, 김대훈 연구팀은 심방세동 치료법인 전극도자 절제술을 받고 재발이 없는 경우 환자가 기존에 복용하던 경구 항응고제를 장기간 끊었을 때, 뇌졸중이나 중요 장기 출혈 등이 발생하는 위험성이 최대 87.5% 낮아지는 것을 확인했다고 1일 발표했다.

 

정보영 교수 연구팀이 최근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유럽심장학회에서 발표한 이번 연구는 미국의사협회가 발행하는 권위 있는 국제 종합 의학 학술지 자마(JAMA,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IF 55.0) 최신호에 실렸다.

 

심방이 매우 불규칙하게 뛰는 부정맥의 일종인 심방세동을 앓는 환자는 시술 전에 경구 항응고제(Oral AntiCoagulants, OAC)를 복용한다. 심방세동 환자는 심방 안에 혈액이 고여 혈전(피떡)이 잘 생기는데, 전극도자 절제술을 시행할 때 작은 혈전이라도 있으면 시술 중 뇌졸중과 같은 위험이 있어서다.

 

전극도자 절제술(카테터 절제술, Catheter Ablation)은 부정맥을 일으키는 심장 부위까지 관을 삽입해 고주파 열이나 냉각 에너지, 펄스장 에너지를 가해 치료하는 방법이다. 성공적인 전극도자 절제술 시행 후에도 뇌졸중 위험도가 높은 환자에게는 경구 항응고제 복용이 권장됐다.

 

하지만 전극도자 절제술을 받으면 심방세동이 재발하지 않는 한 혈전(피떡) 발생 가능성이 적어 복용 필요성이 줄어들고, 혈액 응고를 막는 효과가 있는 만큼 복용을 계속하면 뇌출혈, 위장관 출혈과 같은 중대한 출혈(major bleeding) 위험이 커진다. 그럼에도 단약 안정성에 관해서는 논란이 있었다.

 

정보영 교수 연구팀은 심방세동 환자가 전극도자 절제술을 받고 1년 이상 재발이 없는 상태에서 경구 항응고제를 계속 복용할 때와 끊을 때의 차이점을 확인하고자 했다.

 

연구팀은 세브란스병원을 비롯해 국내 18개 병원에서 2020년 7월부터 2023년 3월 사이 전극도자 절제술을 받은 심방세동 환자 840명을 모집해 약을 계속 복용한 환자 A군(423명)과 약 복용을 멈춘 환자 B군(417명)으로 나눴다.

 

이후 시술 종료 24개월 차에 두 군을 비교했다. 이때 뇌졸중, 주요 출혈과 같은 주요 복합 사건이 발생한 환자 수는 B군에서 1명(0.3%), A군에서 8명(2.2%)이었다. 또 중대한 출혈은 B군에서 0명, A군에서 5명(1.4%)이 발생했다.

 

김대훈 교수는 이러한 결과에 대해 “경구 항응고제를 계속 복용하면 내부 출혈 위험이 커지게 마련인데, 약을 끊어 이러한 위험을 줄인 것”이라 말했다.

 

결과적으로 전극도자 절제술을 받은 심방세동 환자가 경구 항응고제를 중단하는 것이 계속 복용하는 것에 비해 뇌졸중, 전신 색전증, 중대한 출혈과 같은 위험성을 낮췄다.

 

정보영 교수는 “전극도자 절제술을 받은 심방세동 환자는 복용 필요성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시술 후에도 경구 항응고제를 계속 복용하는 것이 가이드 라인이어서 부가적인 위험성이 높았다”며 “전극도자 절제술을 받고서 심장이 정상 맥박을 유지하면 경구 항응고제 복용을 중단하는 것이 뇌졸중이나 주요 출혈 등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다는 것을 확인한 이번 연구가 심방세동 환자 치료에 대한 새로운 가이드 라인을 마련하는 토대가 될 것”이라 말했다.

 

한편,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 지원 ‘환자중심 의료기술 최적화 연구사업(주관: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의 일환으로 수행됐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