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형간염 환자에서 간암 발생 위험을 보다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모델이 개발됐다.
연세대 의대 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김승업 교수와 용인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전혜연 교수 연구팀은 기존 aMAP 점수에 간경직도(liver stiffness) 측정을 결합한 예측 모델이 간암 발생 위험도를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으며, 정확도가 82%에 이른다고 29일 밝혔다.
고려대 의대, 순천향대 의대, 홍콩 중문 의대 등 5개 상급종합병원이 참여한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임상 위장병학 간장학(Clinical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 IF 12.0)’에 게재됐다.
국내에서 흔한 간 질환 중 하나인 B형간염은 전 세계적으로 간암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모체로부터의 수직감염이 대부분인 우리나라의 경우 대부분 만성으로 진행돼 간경변이나 간암으로 악화될 수 있다. 특히, 항바이러스 치료 후에도 남아 있는 간 섬유화는 간암 발생의 핵심 위험인자로 작용한다.
기존의 간 섬유화 평가는 간 조직검사를 표준으로 시행했다. 하지만 검사 비용, 합병증 여부, 검사자 간 차이 등으로 인해 간암 예측과 진단에 활용하기에 일부 제약이 있어, 최근에는 비침습적 검사가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연구팀은 aMAP 점수와 간경직도(LS, liver stiffness) 측정을 결합한 새로운 예측 모델을 개발했다. aMAP 점수는 나이, 성별, 혈청 알부민, 빌리루빈, 혈소판 수를 기반으로 한 위험 예측 지표다. 여기에 순간탄성측정법(VCTE)을 이용한 간경직도(LS) 측정값을 결합해 잔여 섬유화 위험을 반영했다. 간경직도를 반영해 개발한 예측 모델은 총 두가지로 진행성 섬유화를 기준으로 한 aMLaf와 간경변을 기준으로 한 aMLc다.
연구팀은 2005년 5월부터 2021년 7월까지 항바이러스 치료를 시작한 만성 B형간염 환자 944명을 대상으로 평균 5년 이상의 추적 관찰을 통해 새로운 예측 모델의 정확도를 분석했다. 기존 유럽 간학회에서 제안된 간암 발생 예측 모델인 ‘PAGE-B’, ‘mPAGE-B’와 비교를 진행했다.
분석 결과, aMLaf와 aMLc 예측 모델 모두 기존 PAGE-B, mPAGE-B 모델과 비교해 우수한 예측 성능을 보였다. B형간염 환자의 5년 후 간암 발생 예측 정확도를 나타내는 AUROC 값은 두 모델 모두 0.82(82%)로 기존 모델(PAEG-B(0.74), mPAGE-B(0.75))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앞섰다. 특히, aMLaf 저위험군에서는 추적기간 동안 간암 발생이 단 한 건도 없었다.
또한 연구팀은 홍콩 중문 의대 코호트 분석에서도 61명의 B형간염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정확도 분석에서 aMAP 점수와 간경직도 측정을 결합한 모델이 예측 정확도 80% 이상을 보이며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김승업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aMAP 점수와 간경직도 측정을 결합하면 만성 B형간염 환자의 간암 위험을 보다 정밀하게 평가할 수 있는 것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전혜연 교수는 “새로운 예측 모델은 저위험군을 명확히 구분할 수 있어 불필요한 검사 부담은 줄이고, 고위험군에 대해선 보다 적극적인 맞춤형 감시 전략을 세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림설명) 간암 발생 예측 모델인 aMLaf와 aMLc의 정확도 분석 결과, B형간염 환자의 5년 후 간암 발생 예측 정확도를 나타내는 AUROC 값은 두 모델 모두 예측 정확도가 82%로 높은 성능을 보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