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6 (수)

  • 구름조금동두천 7.7℃
  • 맑음강릉 10.2℃
  • 구름많음서울 8.2℃
  • 구름많음대전 10.6℃
  • 맑음대구 9.5℃
  • 연무울산 10.0℃
  • 구름많음광주 10.8℃
  • 맑음부산 11.9℃
  • 구름많음고창 9.6℃
  • 구름많음제주 12.7℃
  • 구름많음강화 6.4℃
  • 구름많음보은 7.8℃
  • 구름조금금산 8.7℃
  • 맑음강진군 11.4℃
  • 맑음경주시 10.3℃
  • 구름조금거제 10.8℃
기상청 제공

AI 기반 임상추론 기술로 암병기 예측 정확도 30% 향상

암 환자 보고서 자동 해석·요약 기반 임상추론 AI 시스템 개발
수 초 내 보고서 처리할 만큼 빠르고 안정적, 실제 병원 환경에서의 활용 가능성 입증
아주대병원 방사선종양학과 허재성 교수 연구팀

아주대병원 방사선종양학과 허재성 교수 연구팀(허재성 교수·김선화·박준형 연구원)이 실제 임상에서 생성되는 영상·병리 보고서를 활용해, 언어 기반 AI 모델(Large Language Models, 이하 LLM)이 암 병기(AJCC)와 종양 반응 평가(RECIST)에 따른 임상적 판단까지 수행할 수 있는 ‘AI 임상추론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암 환자 4,200여 건의 보고서를 기반으로 임상 Q&A 벤치마크를 구축하고, 병리 정보·종양 변화·병기 판단을 통합 평가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했다. 또한 의사의 판단 절차를 단계별로 반영하도록 AI를 설계한 결과, 암 병기 예측 정확도가 85~90%로 기존 대비 약 30% 향상됐다.

 

이번 연구는 외부 클라우드 없이 병원 내부(on-premise)만으로도 안전하게 실시간 임상추론이 가능함을 보여준 점에서 의미가 크다. 연구팀이 구축한 경량 AI 임상추론 시스템은 적은 GPU 자원으로도 보고서를 수 초 내 처리할 만큼 빠르고 안정적이어서 실제 병원 환경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입증했다.

 

이 기술이 도입되면 영상·병리 보고서 구조화 시간이 1~3분에서 수 초로 단축돼 의료진의 문서 업무가 크게 줄어든다. 또한 임상결정지원시스템(CDSS), 다학제 진료 자동화, 정밀의료 고도화 등 다양한 임상지원 시스템으로 확장 가능하며, 암 환자 데이터의 표준화·구조화가 자동화됨으로써 정밀의료 및 암 AI 연구의 데이터 품질 향상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이 연구는‘Clinical reasoning from real-world oncology reports using large language models(언어모델을 활용한 실제 임상 종양보고서 기반 임상추론 연구)’라는 제목으로,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의 대표적 국제 학술지 ‘Digital Health’ 11월호에 게재됐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