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1 (목)

  • 맑음동두천 -3.1℃
  • 맑음강릉 1.1℃
  • 맑음서울 -0.8℃
  • 맑음대전 -1.4℃
  • 맑음대구 0.8℃
  • 맑음울산 0.5℃
  • 맑음광주 1.1℃
  • 맑음부산 1.9℃
  • 맑음고창 -3.0℃
  • 맑음제주 5.8℃
  • 맑음강화 -3.1℃
  • 맑음보은 -4.4℃
  • 맑음금산 -4.9℃
  • 맑음강진군 -1.7℃
  • 맑음경주시 -0.4℃
  • 맑음거제 1.1℃
기상청 제공

기본분류

세스트린, 자궁내막암세포 증식과 전이 억제 확인

김정식 순천향대의대·박환우 건양대의대 교수팀 연구

국내 연구진이 대사조절체 단백질인 세스트린(sestrin2)이 단백질 복합체 mTORC1에 작용해 자궁내막암세포의 증식과 전이 등을 억제하며, 예후와도 연관이 있음을 밝혀, 향후 치료 연구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김정식 순천향대서울병원 산부인과 교수와 박환우 건양대의대 교수팀은 정량 실시간 PCR(qRT-PCR)검사를 통해, 자궁내막암에서는 정상 내막세포에서보다 훨씬 더 mTORC1 활성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카플란 마이어(Kaplan-Meier) 생존 분석으로 Sestrin2의 발현이 증가할수록 자궁내막암 환자들의 생존율과 무질병 생존기간(disease-free survival)이 감소하는 것도 확인했다.

 

지금까지는 정상적인 자궁내막세포에서 세스트린이 mTORC1를 억제하는 역할만 알려져 있었고, 자궁내막암에서 세스트린이 하는 역할은 확인되지 않고 있었다.

 

특히, mTOR pathway와 관련된 표지자(RPTOR, MTOR, RHEB등)들 중 자궁내막암 환자조직에서는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링 상호 작용 분석(GEPIA, Gene Expression Profiling Interactive Analysis) 자료를 통하여 세스트린이 RPTOR유전자와 관련이 있음을 알아냈다.

 

김정식·박환우 교수팀은 “세스트린이 mTORC1에 작용해서 자궁내막암의 암세포 증식과 전이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며, 세스트린이 자궁내막암 치료의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 의미 있는 연구”라고 강조했다.

 

세스트린은 스트레스에 의해 나타나는 대사조절체 단백질이다. mTOR라는 신호전달체계의 활성을 저해하여 암 세포증식과 노화와 관련한 퇴행성질환, 비만 및 당뇨병과 관련한 대사증후군을 막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mTORC1(mammarian target of rapamycin complex1)은 세포의 성장이나 노화, 세포 대사를 조절하는 단백질 복합체다. 성장인자, 영양소, 스트레스와 에너지 상태 등에 반응하여 단백질 합성, 리보좀 생합성, 자가식작용(Autophagy) 등의 다양한 기능을 조절하고 수행한다.

 

자궁내막암은 나이가 많아질수록, 비만 환자에서 더 잘 발생한다. 노화와 비만과 연관 되는 조절체가 mTORC1이다. 스트레스에 의해 유도되는 세스트린은 환경이나 p53, HIF-1등에 의해서도 발현이 되며 결과적으로 mTORC1을 억제 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번 연구 논문은 학술저널 캔서지(Cancers,IF6.1) 9월호에 ‘mTOR-Dependent Role of Sestrin2 in Regulating Tumor Progression of Human Endometrial Cancer’라는 제목으로 발표했다.

 

한편, 김정식 순천향대서울병원 산부인과 교수는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2020년도 하반기 이공분야 기초 연구 중견연구자 지원 사업에 선정돼 ‘자궁내막암에서 ULK1인산화에 의한 조절기전 규명 및 항암치료 타겟 발굴’연구를 진행한다.

포토뉴스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