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5 (토)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대각선 귓불주름, 치매 위험 높아

경희대병원 이진산 교수 ‘대각선 귓불주름과 인지기능장애와의 연관성’ 밝혀

대각선 귓불주름이 인지기능장애(치매)발병의 주요원인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경희대병원 신경과 이진산 교수(주저자)와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서상원 교수(교신저자)가 참여한 ‘대각선 귓불주름과 인지기능장애 (치매)와의 연관성’ 연구 논문이 Scientific Reports 저널에 발표됐다.

 

논문의 주요내용은 경도인지장애와 치매를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서 ‘대각선 귓불주름(Diagonal Earlobe Crease, 사진A)’이 정상인에서 보이는 것보다 높은 빈도로 관찰됐다는 것이다. 대각선 귓불주름은 노화와 연관된 신체 증후 가운데 하나로 알려져 있으나, 모든 사람에게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정상인 243명과 인지장애환자(알츠하이머성, 혈관성) 471명의 대각선 귓불주름의 관찰·분석 결과, 인지장애 환자의 약 60%인 279명에서 대각선 귓불주름이 관찰됐다. (표1)

특히, 대각선 귓불주름의 존재 여부는 혈관성치매의 원인인 대뇌백질변성 (사진B)의 심한 정도와 알츠하이머치매의 원인인 베타-아밀로이드 양성률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표2) 

 

[표1 : 대각선 귓불주름 관찰여부]

 

구 분

정상인 (243명)

인지장애환자 (471명)

대각선귓불주름O

대각선귓불주름X

대각선귓불주름O

대각선귓불주름X

대각선 귓불주름

107명(44%)

136명(56%)

279명(59.2%)

192명(40.8%)

 

[표2 : 대각선 귓불주름 유무별 인지장애 주요원인 관찰률]

 

구 분

정상인 (243명)

인지장애환자 (471명)

대각선 귓불주름 O (107명)

대각선 귓불주름 X (136명)

대각선 귓불주름 O (279명)

대각선 귓불주름 X (192명)

대뇌백질변성

(혈관성치매 원인)

32명(29.9%)

34명(25%)

193명(69.2%)

84명(43.8%)

베타-아밀로이드 양성(알츠하이머치매 원인)

-

165명(59.1%)

99명(51.6%)

 

이진산 교수는 “1973년부터 최근까지 대각선 귓불주름과 허혈성심장질환, 고혈압, 당뇨, 대사성증후군, 뇌졸중 등 다양한 질환과의 연관성을 다룬 논문이 계속해서 발표되고 있지만, 인지기능장애와의 연관성을 다룬 연구는 이번이 최초”라면서 “대각선 귓불주름을 통해 인지장애의 동반 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