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은 2014년 심사실적을 기준으로 2014년 심사한 총 진료비가 61.9조원이라고 밝혔다.보험자별 진료비 심사금액은 건강보험 54.5조원(7.5% 증가), 의료급여 5.6조원(6.3% 증가), 보훈 0.3조원(4.8% 감소), 자동차 진료비 1.4조원(268.0% 증가)로 나타났다.수가유형별 구성비는 행위별수가 93.1%(58조원), 정액수가 6.9%(3조 904억원)였다. 행위별수가 58조원의 4대 분류 구성을 살펴보면 기본진료료 15.7조원(27.1%), 진료행위료 25.7조원(44.3%), 약품비 14.2조원(24.5%), 치료재료대 2.4조원(4.1%)이다.요양기관 종별 및 진료행태별 진료비 실적, 다빈도 상병 등 건강보험 주요지표 등 「2014년도 진료비통계지표」는 상세자료는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2014년도 건강보험 진료비는 54조 5,275억원으로 전년대비 7.5% 증가하였으며, 건강보험 적용대상자 1인당 진료비는 108만원으로 전년대비 6.8% 늘어났다.건강보험 적용대상자 1인당 의료기관 이용일수는 20일로 나타났다.의료기관 진료비는 42조 270억원이며, 입원은 전년도 대비 7.5% 증가한 19조 576
편도염은 편도를 구성하는 혀편도, 인두편도, 구개편도 중 주로 구개편도에 발생하는 염증을 말하며, 대부분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을 통해 발생한다. 주변 인후 조직의 임파선을 침범하는 인후염이 생길 수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이 ‘ 편도염질환으로 인한 건강보험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2013년 기준 전체 진료인원은 796만 5,422명으로 남성이 358만 7,187명, 여성은 437만 8,325명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1.2배 많았다. 연령별로는 9세 이하의 비율이 전체 진료인원 중 22.9%를 차지해 다른 연령층에 비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2013년 기준)연령대별 인구수를 보정한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에서도 9세 이하(39,949명)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10대(19,485명) 30대(16,579명) 20대 (13,117명) 순(順)으로 나타났다. 여성이 남성에 비해 1.2배 많았으며, 9세 이하 및 70대 이상 연령대에서는 남·여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2009년부터 2013년까지‘ 편도염’ 질환으로 병원을 찾은 진료인원을 월별로 분석한 결과 일교차가 커지는 환절기 기간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편도염 질환으로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이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이명(H931)’으로 진료를 받은 사람은 2008년 24만3,419명에서 2013년 28만2,582명으로 매년 3.0%씩 증가하였다. 같은 기간 건강보험 총 진료비는 2008년 173억원에서 2013년 227억원으로 증가해 연평균 증가율은 5.6%로 나타났고, 건강보험 적용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은 2008명 505명에서 2013년 565명으로 매년 2.3%씩 늘어낫다. 【 2008~2013년 ‘이명’ 건강보험 진료현황 】(단위 : 명, 백만원, %)구 분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연평균 증가율진료인원243,419 264,320 279,803 296,963 291,782 282,582 3.010만명당 진료인원5055445726025885652.3총진료비17,32519,41422,85424,71923,82522,7065.6‘이명’ 진료인원을 성별로 나누어 보면 2008년부터 2013년까지 매년 여성이 남성에 비해 1.4배 이상 많았고,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 또한 58.0% 이상으로 분석되었다. 【 2008~2013년 ‘이명’ 진료인원의 성별 분포
2014년 소아암’진료인원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상병은 ‘백혈병’으로 3,484명이 진료를 받아 전체의 22.1%를 차지하였으며,2014년 소아암 진료인원이 가장 많이 증가한 연령대는 15~17세로 2010년 보다 진료인원이 30.2% 증가하였다.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은 세계 소아암의 날(2월 15일)을 맞아 최근 5년간(2010~2014년)의 ‘소아암’에 대한 심사결정자료(건강보험 및 의료급여)를 분석한 결과이다.’소아암‘에서는 ’백혈병‘의 비중이 22.1%로 가장 높지만 전체 연령에서는 ‘갑상선암’의 비중이 18.4%로 가장 높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아암이란 소아에게 생기는 악성종양을 말하며, 크게 혈액암과 고형종양으로 나눌 수 있다.혈액암은 몸속의 혈액세포에 암이 생겨 증식을 하는 질환으로 백혈병이 포함되어 있으며, 고형종양은 몸속의 세포 중 일부가 악성변화를 일으키는 질환으로 뇌종양 등이 있다(출처: 한국백혈병소아암협회) ‘소아암’ 상병 중에서 진료인원이 가장 많은 상병은 ‘백혈병’으로 2014년 기준 3,484명이 진료를 받아 전체 진료인원 중 22.1%를 차지하였다.‘소아암’ 진료인원 중 비중은 ‘백혈병’
재발 방지위해 치료 후에도 어깨 스트레칭 계속 오십견은 50세의 어깨를 지칭하는 용어로, 동결견(frozen shoulder)이라고도 하며,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에 의한 정확한 진단명은 ‘어깨의 유착성 피막염’. 어깨 관절의 통증과 운동 범위의 제한을 가져오는 질환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이 ‘어깨의 유착성 피막염(M75.0)' 질환으로 인한 건강보험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2013년 기준 전체 진료인원은 74만 953명이었으며, 남성이 28만 8,346명, 여성은 45만 2,607명으로 여성이 남성의 1.57배이었고, 2008~2013년 연평균 증가율은 남성 3.55%로 여성1.96%보다 높았다. 연령별로는 50대 이상 연령층이 전체 진료인원의 대부분인 82%의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013년 기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08년부터 2013년까지‘오십견’질환의 월별 진료인원을 살펴본 결과,날씨가 따뜻해지면서 활동량이 증가하는 봄철, 특히 3월의 진료인원이 1년 중 가장 많았으며, 남성과 여성에서 이러한 현상은 동일하게 나타났다. 반면, 9~11월에는 진료인원이 가장 적었다.또 2008년부터 2013년까지‘오십견’질환의 수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이 최근 5년간(2009~2013년)의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골절(Fracture)’ 진료인원을 분석한 결과, 70대 이상 구간이 전체 진료인원의 18.1%로 연령구간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50대 17.9%, 10대 13.5% 순으로 높았다.겨울철에는 진료인원 5명 중 1명이 ‘아래팔의 골절’로 진료를 받아 특히 겨울철 빙판길에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골절’의 연령별 진료인원을 보면 2013년 기준으로 70대 이상이 전체 진료인원의 18.1%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50대 17.9%, 10대 13.5% 순으로 높았다. 특히, 70대 이상은 2013년 진료인원이 2009년에 비해 약 55% 증가하여 노인들은 골절을 예방하기 위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대부분 연령층에서 ‘두개골 및 안면골의 골절’의 진료인원의 비중이 가장 높았으나 70대 이상은 ‘늑골, 흉골 및 흉추의 골절’, 10대는 ‘손목 및 손부위의 골절’의 진료인원의 비중이 높았다.남성의 경우는 10대가 약 22만 3천명, 여성은 70대 이상이 약 29만 4천명으로 가장 많아 진료부위도 남성은 ‘손목 및 손부위의 골절’, 여성은 ‘
자궁근종은 자궁 평활근에서 유래되는 양성종양으로, 가장 흔히 자궁체부에 발생하지만 드물게는 자궁경관, 자궁인대 또는 자궁경부에도 생긴다. 대개 병변은 다발성이고 고립성이며, 현미경적 크기에서부터 매우 큰 거대종양에 이르기까지 크기가 다양하다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이 2009년부터 2013년까지 4년 간 ‘자궁근종(D25)’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13년 진료인원은 29만 3천명, 진료비는 1,290억원으로 나타났다.진료인원은 2009년 23만7천명에서 2013년 29만3천명으로 5.5% 증가했고,총진료비는 2009년 1,000억원에서 2013년 1,290억원으로 6.6% 늘었다. 표 1 ‘자궁근종' 진료인원 및 총진료비 변화(2009~2013년)(단위: 명, 백만원)구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연평균증가율진료인원236,680258,101262,286289,379292,8055.5%총진료비99,854106,677110,820113,428128,8756.6% 최근 4년간 10만명당 진료인원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10만명당 진료인원은 20대 이하를 제외한 전 연령대에서 증가했다.60대 이상의 연평균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이 2009~2013년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비타민D 결핍(E55)’으로 인한 진료인원은 2009년 2,027명에서 2013년 18,637명으로 4년 동안 9배 이상 증가하였다.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가정의학과 이상현 교수는 ‘비타민D 결핍’의 증가원인에 대해 “햇빛이 비타민D 생성과 관련성이 높으므로, 실내 활동이 많은 현대인의 생활습관이 비타민D 결핍 증가의 주요 원인”이라고 지적하면서, 진료인원이 급증한 원인에 대해 “최근에 비타민D가 뼈 건강 뿐 아니라 근육과 면역, 그리고 일부 암과도 관련성이 있다는 연구로 인해 진료 현장에서 비타민D 결핍에 대한 검사가 증가하게 되면서 적극적인 치료가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설명하였다. 2009~2013년 진료인원을 성별로 살펴보면, 여성이 남성보다 2009년에는 1.9배, 2010~2013년에는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타민D 결핍’이 남성에 비해 여성이 많은 이유에 대해 이상현 교수는 “여성의 경우 외출 시 자외선 차단 크림을 바르는 것이 일상화되어 야외 활동에도 불구하고 비타민D 생성이 충분히 되지 않아, 비타민D 결핍이 남성보다 더 흔하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이 2009년부터 2013년까지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건선(L40)’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인원은 2009년 155,995명에서 2013년 163,707명으로 최근 5년간 연평균 1.2% 증가하였다.2013년 기준으로 남성이 전체 진료인원의 57.7%(94,478명)으로 여성보다 1.3배 더 많으며, 최근 5년간 진료인원의 연평균 증가율 또한 남성이 여성에 비해 2배 더 높았다. 건선(psoriasis)은 은백색의 비늘로 덮여 있고, 경계가 뚜렷하며 크기가 다양한 붉은색의 구진이나 판을 이루는 발진이 전신의 피부에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피부질환이다. 팔꿈치, 무릎, 엉덩이, 두피, 손·발바닥의 피부와 손톱, 발톱 등에 호발하나 전염되지 않는다 2013년 ‘건선’ 월별 진료인원구 분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진료인원(명)전체36,73935,50737,32738,36140,82538,29837,64634,95432,72134,68434,55835,199남성22,57822,18722,91323,53424,33022,57722,05820,55019,65620,90421,31
만성폐쇄성폐질환 진료인원이 2009년 약 71만 6천명에서 2013년 약 65만 9천명으로 5년간 약 5만 7천명(-7.9%)이 감소하였으며, 연평균 증가율은 -2.0%로 나타났다.만성폐쇄성폐질환 총진료비는 2009년 약 1,365억원에서 2013년 약 1,520억원으로 5년간 약 155억원(11.3%)이 증가하였다.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이 최근 5년간(2009~2013년)의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 결정 자료를 이용하여 ‘만성폐쇄성폐질환(J42~J44)’에 대해 분석한 결과,확인되었다표1. 만성폐쇄성폐질환 성별 진료인원 및 총진료비 현황 (2009년~2013년)구 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진료인원(명)계715,604 670,946 687,378 735,936 658,791 남361,613 348,742 359,264 386,126 353,586 여353,991 322,204 328,114 349,810 305,205 총진료비(천원)계136,547,089 137,002,790 142,952,268 155,197,762 152,041,872 남88,462,595 91,444,108 95,756,746 103,642,132 10
피부 건조증도움말 : 고려대 구로병원 피부과 건선클리닉 송해준 교수 피부 자극 피하고 꾸준한 수분공급 등 피부 보습 필수증상악화시 피부과 전문의 찾아 적극적으로 치료 받아야건조주의보가 이어지는 매년 이맘때만 되면 괴로운 이들이 있다. 바로 피부건조증과 건선환자들이다. 춥고 건조한 날씨에 정강이부위부터 피부가 하얗게 일어나더니 견딜 수 없이 가렵다. 참지 못한 나머지 계속 긁다보면 어느새 피도 나고 흉터까지 생긴다. 긁지 않으려 애써봐도 자는 중에 자신도 모르게 손이 가 여기저기 상처가 생겨있기 일쑤다. 연고를 발라봐도 잠시뿐 하루 종일 가려움 때문에 받는 스트레스 또한 만만치 않다. 누구에게나 생길 수 있는 피부질환인 피부건조증은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일어난다. 나이가 들어가면 점점 피부에서 피지의 분비가 감소하게 되는 데, 이때 피부표면에 있어야 할 기름 보호막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 피부는 수분을 잃게 된다. 또한 날씨가 추어지면 대기가 건조하게 되고, 과도한 난방, 뜨거운 물에 잦은 목욕, 과도한 비누와 때수건의 사용 등도 피부건조증 악화에 주요 원인이 된다. 피부건조증의 증상은 종아리, 허벅지 등 다리부위와 팔에 먼저 나타나기 시작해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직무대리 박병태)이 2008년부터 2013년까지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위궤양 및 십이지장궤양을 포함하는‘소화성궤양'의 진료인원은 2009년 251만2천명에서 2013년 206만8천명으로 17.8% 감소(연평균 4.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2013년 기준으로 연령대별 진료인원은 70대 이상이 인구 10만명당 1만1,893명으로 가장 많고, 60대(9,458명), 80대(8,331명) 순(順)으로 나타나 노령인구층에서 진료인원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연도별 진료인원 추이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2009년에서 2013년까지 총 진료인원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20대와 30대 연령층에서 감소율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50대와 60대에서 감소율이 둔화되다가(각각 연평균 2.0%, 4.2% 감소), 70대 이상에서는 진료인원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연평균 2.5% 증가).젊은 연령층에서 소화성궤양 환자가 감소하고 노인층에서 소화성궤양 환자가 여전히 증가하는 이유에 대해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소화기내과 전한호 교수는 “소화성궤양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원인으로는 Helicobacter pylori(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