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이 제2형 당뇨병의 주요 위험인자라는 사실은 기존 연구를 통해 잘 알려져 있었지만, 성별과 폐경 여부에 따라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보고된 바가 없었다.
이런 가운데 제2형 당뇨병 발병을 부추기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폐경 전 젊은 여성에게서 가장 위험하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 데이터관리센터(류승호, 장유수, 김예진) 연구팀은 2011~2018년 건강검진을 받은 비당뇨 성인 24만 5,054명을 성별 및 폐경 여부에 따라 남성(13만 286명), 폐경 전 여성(10만 9,810명), 폐경 후 여성(4,958명)등 세 그룹으로 나눠 비알콜성 지방간 유무에 따른 비교 분석 및 5.3년간의 추적 관찰을 시행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으며 관련 연구를 미국 간학회(AASLD)저널(Hepatology, IF 17.298) 최근호에 게재했다고 8일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이 있는 경우,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없는 건강한 그룹과 비교했을 때 당뇨병 발생 위험이 폐경 전 여성에서 4.6배, 폐경 후 여성에서 2.7배, 남성에서 2.2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폐경 전 여성 그룹에서 당뇨병의 상대위험도가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했다. 이러한 결과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의 중증도가 높을수록 더욱 두드러졌다.
류승호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이 당뇨병의 중요한 예측인자임을 다시 한번 확인했을 뿐 아니라,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의 상대적인 영향이 성별과 폐경 여부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밝혀냈다. 효과적인 당뇨병 예방 및 관리를 위해서 비알코올성 지방간 유무에 따른 성별 간 차등영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장유수 교수는 “최근 서구적 식습관 및 신체활동 감소 등의 영향으로 젊은 성인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 유병률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기존 저위험군으로 분류되었던 젊은 여성들 역시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있을 경우 당뇨병 발생에 대해 안심할 수 없다. 젊은 여성들 역시 비알콜성 지방간을 비롯한 대사질환의 조기예방을 위해 생활습관 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