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6 (화)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엽산 농도 낮고 호모시스테인 농도 높다면, 질병 인한 사망위험 높아

,40세 이상 남자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위험 2배 이상 높아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 국립보건연구원(원장 직무대리장희창)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 국립보건연구원(원장 직무대리장희창)은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 자료를 활용하여, “혈중 엽산 농도가 낮으면서 호모시스테인* 농도가 높은 경우 사망위험이 높았다”고 전문학술지에 발표하였다(3.1.).

 

* 호모시스테인 : 엽산을 포함한 비타민 B군 섭취 부족 시 증가하는 황-함유 아미노산으로 높은 호모시스테인 농도는 동맥의 손상과 혈관의 혈전을 유발할 수 있음.

 

이번 연구는 농촌기반 동일집단(코호트)* 임상 정보와 사망원인 통계 자료를 이용한 2.1만 명의 12년 추적자료 분석 결과이다.

 

  * 국립보건연구원이 동일집단(코호트)으로 수행한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40세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05년부터 시작한 추적조사 연구.

 

그동안 호모시스테인 농도와 사망위험의 관련성은 이미 알려져 있으나, 엽산 농도와 사망위험에 대한 근거는 부족했다.

 

이번 연구에서 엽산 농도가 낮은 남자는 전체사망과 심혈관질환 사망위험이 높았으며, 고호모시스테인혈증을 동반한 경우 둘 다 정상범위인 군에 비해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위험 2.1배, 암으로 인한 사망위험은 1.4배 높았다.

 

한편, 여자는 엽산 농도가 낮으면서 호모시스테인이 높은 경우 암으로 인한 사망위험이 높았으나, 엽산 농도만 낮은 경우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동일 열량 섭취 시 남자가 여자보다 엽산 섭취량이 낮았고, 엽산 결핍* 비율은 남자 17%, 여자 5%, 고호모시스테인혈증 비율은 남자 21%, 여자 6%이었다.

 

  * 세계보건기구(WHO)는 심혈관질환 위험지표인 호모시스테인이 급격하게 증가하기 시작하는 혈청 엽산 농도를 결핍 기준(10nmol/L 미만)으로 제안.

 

※ nmol/L : 나노몰퍼리터. 물질의 양을 '입자의 개수'로 나타내기 위한 사용 단위

 * 1 mol = 6.02214076*1023 개의 입자 (6.02214076*1023 = 아보가드로 상수)

 * 아보가드로 상수 = 탄소 12g에 포함된 원자의 수로 정의함.

 * n (나노) -> 10-9

 

 

  국립보건연구원이 추진하는 국가보건의료연구인프라구축(R&D) 사업의 지원으로 수행한 이번 연구 성과는 영양 ․ 식사요법 분야 국제학술지*에 최근 게재되었다. 

  * 학술지 명: The Journal of Nutrition

 

  연구진은 남자에게서 엽산 농도가 높을수록 사망위험이 낮아지는 것은 아니었으며, 약 20nmol/L에서 가장 낮은 사망위험이 관찰되어 적정 엽산 섭취량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암, 심혈관질환 등 만성질환으로 인한 사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엽산과 호모시스테인 농도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