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5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심정지 생존자 장기 생존, 사회경제적 환경 중요

의료보호 환자의 장기 사망률 52% 더 높아 적극적 관리 필요
한양대병원 응급의학과 유경헌 교수 오재훈 교수 조용일 교수팀

‘병원 밖에서 발생하는 심정지(Out-of-Hospital Cardiac Arrest, 이하 OHCA)’를 경험한 환자 중 사회경제적 환경이 낮은 의료보호 환자군에서 장기적으로 사망률이 높아져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특히 OHCA 후 심장 시술을 받은 경우 장기적인 사망률이 의료보호 환자군에서 72%가 더 높게 나타났다.

 

 

한양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유경헌 교수 오재훈 교수 조용일 교수팀은  '병원 밖 심정지 생존자의 사회경제적 환경과 장기적 생존율과 연관성에 대한 전국 인구 기반 종단 연구란 논문을 통해 이와같은 결과를 밝혔다.

(좌부터) 한양대병원 응급의학과 유경헌, 오재훈, 조용일 교수

병원 밖 심정지(OHCA)’는 세계적으로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이다. 이전까지 연구는 OHCA 환자들의 생존율을 개선하기 위한 병원 전 단계 요인들에 주로 초점이 맞춰져 있었지만 최근에는 OHCA 후 퇴원한 환자의 장기적인 예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심정지 후 생존한 환자들의 장기 예후와 사회경제적 환경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또 심정지 후 생존자를 10년 이상 장기적으로 추적한 연구는 없었다.

유경헌 교수팀은 건보공단 빅데이터를 통해 2005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OHCA로 입원한 환자 중 30일 이상 생존한 18세 이상의 환자 4,873명을 10년 이상 추적 연구했다. 환자들 중 국민건강보험 등록 환자는 4,480명, 의료보호 등록 환자는 393명 이었으며, 이들 중 입원해 심장 시술을 받은 환자는 1,121명이다.

연구 결과 OHCA 환자 중 소득, 직업, 지역 등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 것으로 추측되는 국민건강보험 가입 환자보다 의료보호 환자의 장기 사망률이 52% 더 높았다. 특히 OHCA 후 심장시술을 받은 의료보호 환자의 장기 사망률은 72% 이상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유경헌 교수는 “이번 연구는 국내외 최초로 병원 밖 심정지 환자의 회복 후 10년 이상의 장기 예후와 사망률을 비교한 결과”라며 “OHCA 후 입원치료를 시행한 이후에도 사회경제적으로 취약한 환자군의 장기적 사망률이 높아 이러한 환자들은 퇴원 이후에도 적극적인 관리와 관심이 필요하며, 특히 심장 시술을 받은 의료보호 환자군은 더 많은 공중보건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미국심장협회의 최신 가이드라인에서 6번째 생존 고리인 회복을 추가했고, 유럽소생위원회 최신 가이드라인에서도 심정지 이후 회복과 재활에 대해 강조하고 있다”면서 “OHCA 후 생존한 환자들의 장기적인 회복과 생존 개선을 위해서는 사회경제적 격차를 줄이기 위한 다각도의 노력이 있어야 하며, 진료에서도 다학제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JMIR public health and surveillance 온라인판 7월호에 실렸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