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 저하 환자들에서 코로나19 백신이 코로나19 감염 및 중증 질환으로의 이행에 예방 효과가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신장내과 장태익 교수 연구팀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코로나19 감염의 고위험군에서 코로나19 백신 효과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장태익 교수 연구팀은 코로나19 감염의 고위험군에서 코로나19 백신이 코로나19 감염 및 중증으로 이행하는데 어떤 영향이 있는지 규명하고자 국민건강보험공단과 질병관리청에서 구축한 K-COV-N cohort를 이용해 대표적인 면역 저하질환인 말기신부전, 이식, 간경변, 류마티스관절염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는 국내 코로나19 백신 접종 시작일인 2021년 2월 26일을 기준으로 투석을 받고 있는 말기신부전 환자, 고형 장기를 이식 받은 이식 환자, 간경변 환자, 항류마티스약물 치료를 받고 있는 류마티스관절염 환자를 선별한 후 2021년 12월 31일 까지 추적
▲ 장 태익 교수
관찰하며 코로나19 백신 접종에 따른 코로나19 감염 및 심각한 감염의 발생위험을 성향점수매칭법과 Cox 비례위험모형을 이용해 분석했다.
연구 결과, 각 질환별로 백신접종이 코로나 감염 발생율을 낮추고 중증화 위험율을 낮추는 것으로 분석됐다.
투석환자의 경우 총 2만8996명(접종군 1만4498명, 미접종군1만4498명) 중 백신 접종군에서 127명(0.88%), 미접종군에서 247명(1.71%) 코로나19 감염이 발생했다. 코로나19 백신 접종군은 미접종군과 비교해 감염위험이 47% 낮았다.
이 중 심각한 코로나19 감염의 발생은 144명(38.4%)으로 백신접종군에서는 중증 감염 혹은 코로나19 관련 사망이 37명(0.26%)에서 관찰되었으며 백신 미접종군에서는 107명(0.50%) 발생하여 코로나19 백신 접종군은 미접종군과 비교하여 중증화 위험을 68% 감소시키는 것으로 분석됐다.
고형장기 이식 환자에서 코로나19 백신 접종군은 미접종군과 비교하여 58% 감염 위험이 낮은 것으로 분석
되었고 코로나19 백신 접종은 코로나19 감염의 중증화 위험을 49% 감소시키는 것으로 분석됐다.
간경변환자는 백신 접종군에서 168명(0.69%)과 미접종군에서 322명 (1.33%)이 코로나19에 새로 감염되었으며 코로나19 백신 접종군은 미접종군과 비교하여 51% 감염 위험이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중증화 위험 역시
84%감소시키는 것으로 분석됐다.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는 백신 접종군에서 69명(0.69%)과 미접종군에서 131명 (1.31%)이 코로나19에 감염됐으며 코로나19 백신 접종군은 미접종군과 비교하여 49%감염 위험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중증화 위험을 78% 감소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팀은 이번연구에서 “면역 저하 환자들에서 코로나19 감염 자체의 예방 뿐 아니라, 감염 이후의 심혈관 및 신장 보조를 요하는 중증 감염과 코로나19 관련 사망을 포함한 심각한 감염 예방에도 뚜렷한 효과가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한편 일산병원의 이번 정책연구 보고서는 알리오와 일산병원 홈페이지에 게재했으며 원하면 누구든지 열람이 가능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