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대학교(총장 유지범) 생명과학과 배외식 교수와 서울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김홍희 교수 공동 연구팀이 류마티스 관절염의 새로운 치료 기전을 밝혀냈다. 이 연구는 기존 치료가 잘 듣지 않는 환자에게서 왜 그런 차이가 생기는지를 설명하고, 새로운 치료 방향을 제시하는 중요한 성과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면역체계가 자신의 관절을 잘못 공격해 염증과 통증을 일으키는 자가면역 질환이다. 몸속 면역세포들이 뼈와 연골을 공격하고, 염증을 반복적으로 일으키며 병을 악화시킨다. 현재는 염증을
▲(왼쪽부터) 배외식 교수, 김홍희 교수, 이민규 박사과정생, 김민경 박사
일으키는 물질(TNF)을 막는 항체 치료제가 널리 쓰이고 있지만, 일부 환자에게는 효과가 없거나 다시 병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이번 연구에서 공동 연구팀은 환자들의 관절 조직을 분석해, ‘SIK3’라는 단백질이 많이 만들어지는 대식세포가 문제의 핵심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대식세포는 원래 죽은 세포 찌꺼기를 처리하며 염증을 없애는 ‘청소부’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이 SIK3 단백질이 많아지면, 대식세포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오히려 염증을 더 크게 만드는 다른 면역세포들을 활성화시키는 ‘지휘자’로 변하게 된다.
실제로 치료가 잘 된 환자들에게서는 이런 문제가 있는 대식세포가 줄어든 반면, 치료에 반응하지 않은 환자에게서는 여전히 많이 남아 있었다. 이 결과는 기존 치료가 왜 일부 환자에게 효과가 없는지 설명해주는 새로운 단서가 된다.
또한 연구팀은 이 대식세포의 ‘청소 기능’을 되살리면, 염증이 줄어들고 면역 균형을 회복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는 것도 확인했다. 즉, 단순히 염증을 억제하는 데 그치지 않고, 몸의 자연스러운 회복 시스템을 되살리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미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중견연구자지원사업 및 바이오의료기술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세계적인 의약학 분야 국제학술지 Signal Transduction and Targeted Therapy (IF: 52.7)에 9월 12일자로 온라인 게재됐다. 연구팀은 이번 발견을 바탕으로 향후 류마티스 관절염의 맞춤형 치료와 근본적인 치료법 개발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대식 세포 SIK3 조절 기반 면역 청소 기능 회복을 통한 새로운 자가면역질환 치료 전략
▲ 류마티스 환자에서 관절염의 발병 및 치료에 따른 활막 내 대식 세포의 변화와 SIK 억제제에
의한 류마티스 동물 모델에서의 치료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