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에 가장 많이 허가받은 의약외품은 염모제인 것으로 나타났다.품목별 허가 현황을 보면 염모제가 1,347건으로 57%를 차지하여 제일 많았으며 그다음이 위생용품 으로 321건에 14%, 치약제가 227건 10%, 살충제가 163건에 7%, 양모제 47건 2%, 살균소독제 39건에 2%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식품의약품안전청(청장 이희성)은 2011년 의약외품 허가 현황을 분석한 결과 총 2,347건이 허가되어 2010년 2,141건에 비해 9.6% 증가하였다고 밝혔다. 식약청은 지난해 의약외품 주요 특성으로 ▲염모제 허가가 절반 이상 차지 ▲모기기피제, 자양강장제 등 허가 급증 ▲살균소독제 급감 등을 꼽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염모제의 경우 ‘05년 이후 의약외품 중 가장 많이 허가된 제품으로 2011년에는 2010년 1,218건에 비해 10.6% 증가한 1,347건으로, 전체 제품의 57%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신제품 개
공정거래위원회(위원장 김동수)는 이연제약(주)과 진양제약(주)의 리베이트 제공행위에 대해 각각 시정명령 및 1억 2천만원, 1억 4천 6백만원의 과징금을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공정위에 따르면 이연제약의 경우 2008년 1월부터 2010년 6월까지 572 개 병․의원에 상품권 지급, 회식·물품 지원 등으로 약 20억원 상당의 리베이트를 제공했다.또한 진양제약은 2008년 4월부터 2011년 1월까지 536개 병․의원에 대해 골프 접대, 현금 및 상품권 지급 등으로 5억원 상당의 리베이트를 지급한 것으로 밝혀졌다.과징금 부과내역 (단위 :백만 원)제약회사리베이트 제공금액관련 약품수과징금이연제약2,00424개120진양제약49543개146합 계2,49967개266 특히 진양제약의 경우 쌍벌제를 시행한 2010. 11. 28 이후에도 리베이트를 제공하다 적발되었는데 이는 “매출 감소를 우려하여 쌍벌제 시행 이후에도
일란성 쌍태아에서 치명적인 사망률을 보이는 쌍태아간 수혈증후군에 대한 근본적인 치료법이 도입되어 태아 생존율이 획기적으로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서울대학교병원 산부인과 교수팀(신희철, 윤보현, 전종관, 박중신, 박찬욱)은 지난해 8월부터 태아내시경을 이용하여 쌍태아간 수혈증후군을 치료하는 레이저 치료법을 국내 최초로 도입해 시술하고 있다.'쌍태아간 수혈증후군'은 일란성 쌍태아에서 발생하며 치료하지 않는 경우 주산기 사망률이 80-90%에 이르는 위험한 질환이다. 최근 산모의 고령화와 함께 보조 생식술을 통한 임신이 증가하고 있어 ‘쌍태아간 수혈증후군’은 늘어나는 추세이다. 쌍태아간 수혈증후군은 일란성 쌍태아의 10-15% 에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 쌍태아의 빈도는 1981년 1000 분만 당 10.02 건이었는데, 2000년에 16.65건, 2006년에
한국제약협회는 2012년 2월 29일 6,506품목의 보험의약품 가격을 최고가의 53.55%로 일괄 인하한 고시에 대하여 한국제약산업을 말살시키는 고시라며 반드시 재검토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성명를발표하였다단계적 인하 등 제약산업에 대한 최소한의 배려조차 없는 정부의 일방적 조치에 유감을 표한 제약협회는 가혹하고도 무자비한 일괄 약가인하와 관련하여 행정소송 등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강력하게 대응하여 나갈 방침을 천명하였다.한국제약협회는 건강보험재정 안정을 위해 약값을 내리는 데 무조건 반대만 하는 것은 아니라 유예기간을 둔 후 단계적으로 인하하여 줄 것을 정부에 호소하였다이미 3년에 걸쳐 7,800억원의 약값을 인하하는 정부 방침을 수용한바 있고 이번 1조7,000억원의 일괄인하와 관련하여서도 건강보험재정과 산업의 수용 가능성을 합�
알코올성 지방간 26.8% 알코올성 간염 26.1%알코올성 간 질환진료인원은 2006년 183,427명에서 2010년 150,723명으로 5년간 약 3만3천명이 감소하였고, 연평균 감소율은 -4.6%로 나타났다.이는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윤구)이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최근 5년간의 심사결정자료를 이용하여 ‘알코올성 간 질환’에 대해 분석한 결과이다.알코올성 간 질환 총진료비는 2006년 428억9천만원에서 2010년 590억3천만원으로 5년간 약 161억원이 증가하였고, 연평균 증가율은 8.4%로 나타났다. 표1. 알코올성 간 질환 진료인원 및 진료비 현황(2006~2010년)구 분2006년2007년2008년2009년2010년진료인원(명)계183,427 190,394 173,651 167,850 150,723 남159,778 164,178 149,741 144,960 130,325 여23,649 26,216 23,910 22,890 20,398 총진료비(천원)계42,898,631 50,247,445 52,562,700 56,662,077 59,038,946 남38,217,059 44,881,213 46,590,900 49,221,721 51,76
2011년 심사된 기능성화장품은 미백과 주름개선 등 2가지 이상의 기능을 갖는 복합 기능성화장품과 주름개선 품목의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기능성화장품은 화장품법에 따라 식약청에서 안전성 및 유효성을 심사한 화장품을 말하는 것으로, 효능별로는 미백, 주름개선, 자외선차단 3가지가 있다.식품의약품안전청(청장 이희성)은 2011년도 기능성화장품 심사(보고품목 포함)현황을 분석한 결과, 8,263 품목이 심사되어 2010년 7,303건에 비해 1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전체 심사품목 8,263건에 대한 효능별로는 ▲복합 기능성 2,508건 (30.3%) ▲주름개선 2,254건(27.3%) ▲자외선차단 1,900건(23.0%) ▲미백 1,601건(19.4%) 순인 것으로 조사되었다.2010년 화장품 생산실적도 주름개선(262,436천개, 30.2%), 복합 기능성(225,218천개, 25.9%), 미백(194,423천개, 22.4%), 자외선차단 (186,229천개, 21
보건복지부(장관 임채민)는 의료인 면허 재신고, 인터넷 의료광고 사전심의 실시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의료법 시행령․시행규칙 개정안을 입법예고 하였다고 밝혔다.이번 개정안에 따르면 의료인은 최초 신고* 후 매 3년마다 취업 상황, 근무 기관 및 지역, 보수교육 이수 여부 등을 보건복지부장관에게 신고하고, 신고 수리 업무는 각 의료인 중앙회에 위탁하도록 하며 기존 면허자는 ‘13년 4월 28일까지 각 의료인 중앙회에 일괄 신고해야 한다.또한, 모든 의료인은 연간 8시간 이상 보수교육을 이수하도록 하여 의료인의 자질 향상을 도모하였다.다만, 전공의, 관련 대학원 재학생 등은 해당 연도의 보수교육을 면제하고, 6개월 이상 환자 진료 업무에 종사하지 않는 의료인의 경우 보수교육을 유예 신청하는 것이 가능하다. 인터넷 매체 중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전병율)는 보건교사회(회장 한미란)와 ’12. 2. 17(금)공동주최하는『2012년도 학교감염병 표본감시체계 활성화 방안 마련 워크샵』을 통헤 “초·중·고등학교에서 많이 발생하는 학교 감염병은 감기, 수두, 결막염 등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하였다.2011년도 학교감염병 감시체계 운영 결과』를 분석한 결과,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에게 가장 흔한 감염병은 감기로 학생 1,000명당 53.13명이 발생하였고, 다음으로는 수두(9.07명), 결막염(5.76명), 폐렴(2.11명), 유행성이하선염(2.01명) 순으로 발생하였다.감기·수두는 초등학교·특수학교에서, 뇌막염은 초등학교에서, 결막염은 중학교에서 많이 발생하였고, 유행성이하선염·폐렴은 특수학교에서 높은 발생률을 보였다. 계절별 발생 현황을 살펴보면, 감기·수두는 11월, 유행성이하선염·뇌막염은 6월, 결막염은
공정거래위원회(위원장 김동수)는 부산지역 7개 의약품도매상이 대학병원 의약품 구매입찰과 관련하여 담합한 행위에 대하여 시정명령과 함께 총 11억7,400만 원의 과징금을 부과하기로 결정하였다고 밝혔다.업체들은 복산약품(주), (주)삼원약품, (주)청십자약품, 세화약품(주), (주)동남약품, 우정약품(주), (주)아남약품이다. 공정위 발표에 따르면 7개 의약품도매상은 2006. 6월 울산대학교병원 의약품 구매입찰 관련 자신들의 도매 마진 증대 등을 위해 낙찰의약품을 상호간 낙찰가(낙찰인하율)대로 공급하고 사후 정산하기로 합의하였다.공정위는 7개 의약품도매상이 낙찰의약품을 상호간 낙찰가(낙찰인하율)대로 거래하기로 한 것은 자신들 간의 경쟁제한 우려 뿐만 아니라 신규 도매상의 진입 저지 및 다른 도매상의 입찰참가 등 사업활동을 방해 또는 제한하게 되고 낙�
위염질환으로 진료환자가 2006년 447만명에서 2010년 541만명으로 최근 5년동안 연평균 4.9% 증가하였다. 인구 10만명당 환자수는 2006년 9,428명에서 2010년 11,058명으로 연평균 4.1%늘었다 위염은 위의 안쪽 벽을 덮어 위산이나 음식물로부터 위를 보호하는 위점막에 염증이 생기는 병.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종대)이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최근 5년간 위염질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이다. 이에따르면 2010년 기준 연령별․성별 인구 10만명당 환자수는 남성 8,493명, 여성 13,665명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약 1.6배 많았다. 남성은 70대가 18,416명으로 가장 많았고, 80대 이상 16,459명 , 60대 15,073명 , 50대 11,116명 순(順)으로 나타났다. 여성도 70대가 21,615명으로 가장 많았고, 60대 20,983명 , 50대 18,034명 ,80대 이상 15,704명 순(順)으이었다. 9세 이하를 제외한 전 연령대에서 여
임상경쟁력 강화로 국내 임상 비약적 발전지난해 임상시험 승인건수는 총 503건으로 2010년 439건에 비하여 14.6% 증가하였다.특히 국내 임상시험의 국제 경쟁력 지표가 될 수 있는 초기 임상시험(0~1상)의 승인건수도 증가세를 보였다.식품의약품안전청(청장 이희성)은 2011년 임상시험 승인현황을 분석한 결과,지난해 승인된 전체 임상시험 중 국내에서 개발하는 의약품 임상시험인 국내 임상시험은 309건(61.4%) 이었으며, 국내 및 다국가에서 개발하는 의약품 임상시험인 다국가 임상시험은 194건(38.6%)으로 나타났다.국내 임상시험은 2010년 229건에서 2011년 309건으로 전년대비 34.9% 증가한 반면, 다국가 임상시험은 2010년 210건에서 2011년 194건으로 7.6%감소하였다. 최근 3년간 다국가 임상시험은 다소 감소하는 경향(’09년 202건→ ’10년 210건→ ‘11년 194건)을 보이고 있으나, 국내 임
‘프로톤펌프 억제제’를 사용시 설사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는 미국FDA의 정보에 따라 식약청은 주의를 권고하는 안전성 정보 서한을 의약인들에게 통보했다.식약청은 이 의약품 안전성 서한에서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프로톤펌프 억제제’ 투여시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균(Clostridium difficile)성 설사(CDAD) 발생’ 증가와 연관성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함에 따라 환자 및 의료전문가에게 주의를 권고하는 한편 허가사항을 개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미국 FDA에서 의약품부작용보고시스템(AERS) 데이터베이스 및 국내외 연구 검토결과에 의한 것으로 ‘프로톤펌프 억제제’ 를 투여받은 환자에게서 개선되지 않는 설사가 발생한 경우는 CDAD의 진단을 고려해야 한다고 식약청은 덧붙였다.‘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균 성 설사(CDAD, Clostridium d